학술논문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이용수 409
- 영문명
- Effects of Negative Information of Alliance Partner on Brand Alliance: Moderating effect of Product Types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나준희(Na June Hee) 홍성준(Hong Sung Ju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1권 제2호, 91~1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무능력 vs. 비도덕)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전이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유형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번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 제휴를 하여 실용적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제휴 파트너의 비도덕성에 비해 무능력함이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브랜드 제휴를 하여 쾌락적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제휴 파트너의 무능력함보다는 비도덕성이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 브랜드 제휴를 하여 실용적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제휴 파트너의 비도덕성에 비해 무능력함이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렇지만 브랜드 제휴를 하여 쾌락적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제휴 파트너의 무능력함보다는 비도덕성이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더욱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examines how the differential effect of negative information(incompetence vs. immorality) of alliance partner on evaluation of alliance partner, which is studied by Votolato and Unnava (2006), is moderated by the type of products. For this end, this study is composed of 2 experiments.
As a results, alliance partner" incompetence have grater impact than alliance partner" immorality on brand evaluation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s. However, alliance partner" immorality have grater impact than alliance partner" incompetence on brand evaluation in case of hedonic products.
As a results, alliance partner" incompetence have grater impact than alliance partner" immorality on brand evaluation in case of utilitarian products. However, alliance partner" immorality have grater impact than alliance partner" incompetence on brand evaluation in case of hedonic produc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실험 1
Ⅳ. 실험 2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전제품에 대한 불만대응행동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문제행동 연구
- 미취학자녀를 둔 가구의 자녀보육비 지출실태와 영향요인
-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 「소비문화연구」 논문 심사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