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rvice Provider and Customer Factors on Weight Contro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Center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김영심(Kim Youngshim) 정형식(Jung Hyung Shik) 장미라(Jang Mi La)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1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의 체중관리 행동에 있어 서비스제공업체요인 및 고객요인이 체중관리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체중관리업체를 이용해서 체중관리를 하고 있는 소비자 대상 설문지 총 316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분석결과 첫째, 서비스제공업체의 전문성이 고객의 역할명확성 및 고객의 동기유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영향관계에서 서비스제공업체의 전문성이 고객역할의 명확성보다는 동기유발에 더 큰 상대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또한 체중관리 태도가 관리행동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체중관리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이 행동을 이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체중관리행동에 있어 형성되는 긍정적 감정은 체중관리행동 수준을 강화시키지만 부정적 감정의 형성은 체중관리행동 수준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중관리에 대한 과거경험이 많을수록 축적된 경험으로 인해 체중관리행동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도함을 나타냈다. 넷째, 고객 역할의 명확성은 체중관리행동 수준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객의 동기유발은 체중관리행동 수준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에게 체중관리에 대한 목표 및 계획 등에 대한 명확한 역할을 인식하게 하기보다는 체중관리에 대한 동기에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극적인 체중관리행동을 이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체중관리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체중관리 성과를 증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체중관리행동에 있어 자기효능감의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자기효능감 저집단보다는 고집단의 경우에서 체중관리태도, 긍정적 감정, 고객의 동기유발이 체중관리행동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체중관리행동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rvice provider and consumer factors on weight control performance and consumer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nsumer"s selfefficac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ctual consumers of professional weight control centers. A total of 316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the finding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tise of service provid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stomers" role clarity and their motivation level. The service provider"s expertis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consumers" motivation than on their role clarity. Second, the customers" weight control attitude affected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positive attitude helps to form effective behavior. Third, positive emo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weight control behavior, but negative emotion did not. Fourth, past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control: the more experienced in weight control the consumers were, the more active weight control performance they showed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Fifth, role clar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eight control behavior, whereas motivation did. The results imply that motivating consumers for weight control, rather than having them clearly understand their roles in the goals and plans for weight control, can lead to more a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Sixth, the level of weight control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gree of success in weight control. Lastly, self-efficacy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weight control behavior. Consumers" attitude, positive emotion, and motiv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for the high self-efficacy group, rather than for the low self-efficacy group, indicating that higher self-efficacy can lead to more a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t role of self-efficacy in weight control.
First, the expertise of service provider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ustomers" role clarity and their motivation level. The service provider"s expertise had a greater effect on the consumers" motivation than on their role clarity. Second, the customers" weight control attitude affected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dicating positive attitude helps to form effective behavior. Third, positive emo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vel of weight control behavior, but negative emotion did not. Fourth, past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weight control: the more experienced in weight control the consumers were, the more active weight control performance they showed based on their prior experience. Fifth, role clarit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eight control behavior, whereas motivation did. The results imply that motivating consumers for weight control, rather than having them clearly understand their roles in the goals and plans for weight control, can lead to more a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Sixth, the level of weight control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gree of success in weight control. Lastly, self-efficacy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weight control behavior. Consumers" attitude, positive emotion, and motiva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ir weight control behavior for the high self-efficacy group, rather than for the low self-efficacy group, indicating that higher self-efficacy can lead to more active weight control behavior.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t role of self-efficacy in weight control.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의 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전제품에 대한 불만대응행동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문제행동 연구
- 미취학자녀를 둔 가구의 자녀보육비 지출실태와 영향요인
-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 「소비문화연구」 논문 심사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