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이용수 395
- 영문명
- Shopper Typologies by Using Latent Class Segmentation Analysis: Are ther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최자영(Choi Jayoung)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1권 제2호, 127~1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쇼핑 동기를 바탕으로 쇼퍼들의 세분화 분석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쇼핑동기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심층적으로 파악한 후 5개 요인, 즉 사회적 상호작용, 아이디어 추구, 가치추구, 기분전환, 단순제품구매 동기에 대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5개의 쇼핑동기 요인을 이용하여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을 한 결과, 여성과 남성 간에 쇼핑동기의 세분 시장수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여성의 경우, 4개의 세분시장 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세분시장은 열성 쇼퍼, 무관심 쇼퍼, 단순목적구매쇼퍼, 일상탈출 쇼퍼로 구분되었다. 여성의 경우 열성 쇼퍼의 세그먼트가 약 40%정도로 가장 큰 세분시장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의 경우 3개의 세분시장 수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무관심 쇼퍼, 단순목적구매 쇼퍼, 열성쇼퍼로 구분되었다. 남성의 경우 무관심 쇼퍼 집단이 약 58%정도로 크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shopper segmentation based on the reasons consumers go shopping. This study identifies a comprehensive inventory of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s. Based on extensive prior research, a five-factor scale consists of social interaction, idea seeking, value seeking, self gratification, product purchase motivations. Using the five-factor shopping motivation profiles, a latent class segmentation analysis reveals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shopper segments. This study reveals four shopper segments for female, called here the Enthusiasts, the Apathetics, the Escapists, and the Only purposive purchasers. This study also identifies three shopper segments for male, called here the Enthusiasts, the Apathetics, and the Only purposive purchas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분석모델
Ⅳ. 연구 방법
Ⅴ. 분석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론
Ⅱ. 문헌 연구
Ⅲ. 분석모델
Ⅳ. 연구 방법
Ⅴ. 분석
Ⅵ.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전제품에 대한 불만대응행동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문제행동 연구
- 미취학자녀를 둔 가구의 자녀보육비 지출실태와 영향요인
-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 「소비문화연구」 논문 심사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