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이용수 1454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f the Intra Program Advertisement in Terrestrial Broadcasting: Emphasis on Advertising Avoidance Types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김효규(Kim Hyo Gyoo)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11권 제2호, 105~1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재도입 논의가 진행 중인 지상파TV의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시청자들의 인식을 광고회피 유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지상파TV에 중간광고 재도입이 가정되었을 때 전후광고와 중간광고에 대한 시청자들의 반응을 광고회피의 차원에서 예측해보고, 인지적 회피, 물리적 회피, 기계적 회피 유형에 따른 지상파TV 광고의 회피수준과 회피유형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지상파TV의 광고회피를 예측하는 변인들은 전후광고와 중간광고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 전후광고에서와 마찬가지로 중간 광고에 있어서도 ‘광고에 대한 태도’가 광고회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중간광고 소비자들은 제시되는 광고의 여러 형태 (중간광고의 양, 프로그램 포맷, 프로그램의 흥미여부 등)에 따라 보다 다양한 수준과 유형으로 광고를 회피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 예로, 시청자들은 프로그램 시청 시 중간광고가 방해적인 요소로 작용한다고 간주할 때 보다 적극적인 회피유형인 기계적인 회피 (광고 재핑, zapping)를 선호하고, 강제적인 노출로 인해 중간광고가 방해적인 요소로 여겨지기는 하지만 시청하던 프로그램을 계속적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의지가 더 강할 때는 소극적인 회피 방법인 인지적인 회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는 중간광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광고된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로 연결될 가능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iveness of intra program advertisement of terrestrial television. A survey of 293 university students reveals that the predictors of ad avoidance in intra program ads a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ose in pre/post program ads, and as in the pre/post program, advertising avoidance in the intra program is affected most strongly by the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in general." However, in intra program ads, the level and type of ad avoidance appear to vary with the format of advertisement in terrestrial television. Specifically, an active type of ad avoidance (zapping) appears to be more frequently used when intra ads are long and when the program is divided, while a passive type of ad avoidance (cognitive avoidance) is preferred when the program is interesting. The results also show the possibility that negative recognition toward the intra program advertisement caused by the perceived advertising intrusiveness build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advertised brand.
목차
요약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제공업체 요인과 고객개인 요인이 체중관리 성과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가전제품에 대한 불만대응행동에서 나타나는 소비자의 문제행동 연구
- 미취학자녀를 둔 가구의 자녀보육비 지출실태와 영향요인
- 제휴 파트너의 부정적 정보가 제휴 상대 브랜드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제품유형의 조절효과
- 더이마케팅의 의례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소비자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지상파TV 중간광고 소비에 관한 인식 연구 - 광고회피 유형을 중심으로
- 한국 자영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구조적 특성이 경영몰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메시지 프레이밍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제품유형과 광고모델의 수에 관한 연구
- Latent Class Segmentation 분석기법을 이용한 쇼핑행동 유형 분석 - 여성과 남성은 차이가 있는가?
- 패션상품의 문화적 의미와 소비의례 연구 - 나이키 마니아 소비자의 면접을 통한 분석
- 「소비문화연구」 논문 심사 규정 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