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대한 통합모형

이용수 493

영문명
An Integrated Model on Gender Difference in Juvenile Delinquencies
발행기관
한국범죄심리학회
저자명
정승민(Jeong Seu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범죄심리연구』제3권 제2호, 219~24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1.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은 영역인 범죄와 성차이, 특히 청소년비행에 있어서의 성차이를 주요 범죄학 이론과 기존의 경험연구들을 토대로 그 원인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즉 성차이가 범죄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보다 비행의 가능성이 왜 더 높은지 등을 사회통제이론, 권력통제이론 등 가부장적 가정에서의 성차별적 통제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중요한 것은 타당성을 가지고 있는 이론들간의 통합적인 논의를 고려해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역할사회화론과 기타 주요 범죄학 이론들을 적용하는 등 기존의 국내외 논의들을 재정리하여 청소년비행의 성차이를 밝혀낼 수 있는 통합모형을 고안해내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권력통제적 사회화라는 관점을 통하여 사회통제이론, 성역할사회화이론, 차별접촉이론, 범죄기회이론, 억제이론, 중화이론 등에서 제시한 주요 변인을 재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가정에서의 통제나 감독이 범죄에 직접적인 요인이 아니라 성역할에 대한 태도, 비행친구와의 접촉, 범죄기회에의 노출, 처벌에 대한 인지도, 비행에 대한 중기제 등의 매개변인을 통해 청소년비행에 있어 성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즉 가정에서의 통제를 덜 받는 남자청소년은 통제를 많이 받는 여자청소년보다 성역할에 대한 태도가 다르며 위험추구성향이 높고, 처벌의 위협을 덜 인지하며 비행친구와의 접촉과 범죄기회도 잦으므로 범죄의 가능성은 높을 것이라는 모형을 세울 수 있다. 또한 남성다움은 비행에 대한 중화기제의 발전이나 범죄에 대한 허용적 태도 및 처벌에 대한 두려움 감소 등 법위반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인간관계 중심이므로 타자와의 관계를 염두하며, 타자 또는 부모의 부정적인 반응을 고려하게 되므로 범죄의 가능성이 남성보다 낮을 것이다.
  그러나 남녀 청소년에 따라 범죄의 원인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남자청소년의 경우에는 비행친구와의 접촉이 많을수록 비행을 많이 경험하거나 그 가능성이 높을 것이며, 여자청소년의 경우에는 가정에서 통제를 많이 받을수록 비행을 많이 경험하거나 그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연구모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discuss the 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crimes and particularly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juvenile delinquencies, which has been rarely addressed in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major criminological theories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and to fin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 That is, we examined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 on crimes, why the possibility of crimes is higher in male adolescents than in female adolescents, and the relation between gender difference and genderbased discrimination control at home and crimes based on the social control theory and the power control theory. As each theory has validity to some degree, we can consider integrated discussion on the theories. Accordingly, this study was focused on review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gender role socialization and other major criminology theories and formulating a integrated model for determining gender difference in juvenile delinquencies.
  From the viewpoint of the socialization of power control, the relation between gender and crimes can be redefined using issues raised in the social control theory, the gender role socialization theory, the discriminative contact theory, the crime opportunity theory, the deterrence theory, the neutralization theory, etc. It should be noted that control or supervision at home is not a direct factor on crimes but gender difference in crimes is caused by intervening variables such as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contact with delinquent friends, exposure to crime opportunities, awareness of punishment and intermediate mechanism of delinquencies. That is, compared to female ones controlled more at home, male adolescents controlled less at home have a different attitude toward gender roles, show a stronger tendency of pursuing risks, are less aware of punishment, and have more contacts with delinquent friends and crime opportunities, and consequently they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crimes. In addition, masculinity has an affect on their attitude toward the violation of the law such as the development of the mechanism neutralizing delinquencies, permissive attitude toward crimes and reduced fear of punishment, and because women are more human­relation­oriented than men, they consider their relation with others and the negative response of others or their parents and this leads to a lower possibility of crimes in women.
  However, we need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causes of crimes may be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e may consider the research model that experience in delinquencies will be more frequent and the possibility of crimes will be higher when they contact delinquent friends more in case of male adolescents, and when they are controlled more at home in case of female adolescents.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관한 이론 및 기존 논의들
Ⅲ. 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관한 통합모형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승민(Jeong Seung Min). (2007).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대한 통합모형. 한국범죄심리연구, 3 (2), 219-247

MLA

정승민(Jeong Seung Min). "청소년비행의 성차이에 대한 통합모형." 한국범죄심리연구, 3.2(2007): 219-24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