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ading Historicity in Postmodern Biofiction - Barbara Chase-Riboud’s Sally Hemings
이용수 29
- 영문명
- Reading Historicity in Postmodern Biofiction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Min-Jung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2집 1호, 171~20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curricula in the English departments in Korea have unmistakably diversified. Perhaps a reflection of the individual scholarly interests of those teaching in the colleges/universities in Korea today, English departments are coming up with new names that sound markedly unlike conventional courses. While students today are thus being introduced to "minority" literatures, no doubt a positive change, it seems that we need to consider as well the need to expand the "canon" of minority literature in the Korean undergraduate classrooms. Using as my example the relative unpopularity of postrnodem African American postmodern fiction in Korea, I begin this paper by concentrating on the conflictual relationship between postmodernism and African American literature/literary studies. While aware of the debates against the coupling of the two, I argue that given that the conflict emerges essentially from racist assumptions about minority literature and African American literature specifically, I proceed to make a case for the significance of reading a novel by an African American woman, a writer and her work practically unknown in Korea, Barbara Chase-Riboud"s Sally Hemings(1987), as a postmodern biofiction. In my analysis, rather than engaging in issues of historical (in)accuracy or (un)faithfulness, I focus on the novel as a postmodern bio"fiction." In particular, I examine how the distinctive narratives strategies, such as abrupt narrative shifts and the disruption of time and historical periodization-and the presence of a fictional character, the census taker Nathan Langdon, and his relationship to Hemings from which the entire narrative unfolds-contribute to the subversiveness of Chase-Riboud"s work as a postmodern biofictio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서전 연구의 성격과 전망
- Reading Historicity in Postmodern Biofiction - Barbara Chase-Riboud’s Sally Hemings
- 난해성과 (현대)영시
- 12-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Tell it Slant”: Negotiating the Communication Barrier in the American Poetry Classroom
- 미국에서의 청소년 문학 교육
- 그 흑인 친구의 새 이야기가 듣고 싶다
- 현대영미시 교육 방법 연구
- 넬라 라선의 『패싱』 - 욕망의 구도와 동성애
- 디지털미디어 모델링을 통한 영시의 텍스트 확장 가능성 고찰 - 매체성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