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넬라 라선의 『패싱』 - 욕망의 구도와 동성애
이용수 574
- 영문명
- Nella Larsen"s Passing: Narrative of Desire and Homosexuality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희(Hee Kang)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2집 1호, 105~1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ne in which racial boundaries and differences among "passing" blacks became unstable, African-American writers made great efforts to tackle the theme of "the color line," the racial and cultural phenomenon called "passing." Nella Larsen in Passing also confronts and challenges this theme. Poignantly addressing the impossibility of cultural reading of passing, Larsen opens up an alternative space for African-Americans where a new modern black identity could be produced, an identity in-between, constantly fluctuating between black and white. At the very core of such a passing identity lies the complex and ambivalent desire of passing subject. Although the primary concern of Passing seems to be on racial passing, it also reveals the very subtle play of (homo-)sexual passing in its elusory language. This paper thus attempts to examine the narrative of desire and of homosexuality in the novel. Larsen, in her ambiguous use of language, not only blurs the boundaries and dynamics of desires among major characters, but also reveals the complicated interplay between desire and homosexuality. Tracing the meaning of each character"s innermost desire, this paper argues how each character masks their private, latent sexual desires for their social/class roles. Nevertheless their attempt to escape, through their dangerous and subversive desires, from the normalcy of sexual mores and middle-class values of the time ultimately proves unacceptable and poignantly reminds us of the fatal costs they have to pa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서전 연구의 성격과 전망
- Reading Historicity in Postmodern Biofiction - Barbara Chase-Riboud’s Sally Hemings
- 난해성과 (현대)영시
- 12-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Tell it Slant”: Negotiating the Communication Barrier in the American Poetry Classroom
- 미국에서의 청소년 문학 교육
- 그 흑인 친구의 새 이야기가 듣고 싶다
- 현대영미시 교육 방법 연구
- 넬라 라선의 『패싱』 - 욕망의 구도와 동성애
- 디지털미디어 모델링을 통한 영시의 텍스트 확장 가능성 고찰 - 매체성 연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