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pproaches to Teaching Modern English and American Poetry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권승혁(Seunghyeok Kweon)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영미문학교육 제12집 1호, 5~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 intend this paper not as debating over the content or meaning of literary works, but rather as exploring practical teaching processes or skills that might be applied to the real poetry class. Shifting the goal of modern English and American poetry class from covering every modern English and American poets and all aspects of modern poetry toward leading students to learn a set of critical reading skills by participating some class activities, I do not solely depend on ubiquitous teaching method of lecturing, but rather use some approaches to make students involve in class discussions, diverse activities, group presentations, and writing poems as a report, and so on. The above mentioned activities have tremendous danger to lead the class nowhere, but have also definite advantages: students learn some critical reading skills to apply them to any literary works as well as to the world of culture and language that they encounter throughout their lifetime.
목차
Ⅰ. 서론: 문학 교육 방법 연구의 필요성
Ⅱ. 현대영미시 교육의 어려움과 교육 목표 설정
Ⅲ. 결론
〈부록 1〉Modern English and American Poetry: STUDENT INFORMATION FORM
인용문헌
Abstract
Ⅱ. 현대영미시 교육의 어려움과 교육 목표 설정
Ⅲ. 결론
〈부록 1〉Modern English and American Poetry: STUDENT INFORMATION FORM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서전 연구의 성격과 전망
- Reading Historicity in Postmodern Biofiction - Barbara Chase-Riboud’s Sally Hemings
- 난해성과 (현대)영시
- 12-1호 필자 정보 및 게재논문 심사 경과 외
- “Tell it Slant”: Negotiating the Communication Barrier in the American Poetry Classroom
- 미국에서의 청소년 문학 교육
- 그 흑인 친구의 새 이야기가 듣고 싶다
- 현대영미시 교육 방법 연구
- 넬라 라선의 『패싱』 - 욕망의 구도와 동성애
- 디지털미디어 모델링을 통한 영시의 텍스트 확장 가능성 고찰 - 매체성 연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