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

이용수 635

영문명
The Evolutive Plan for the Theory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김대행(Kim Dae-haeng)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2권 제1호, 7~2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5.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을 진지하게 논의하려면 먼저 전수적(傳授的) 교육관과 성서적(聖書的) 교과서관을 공들여 검토하지 않을 수 없다. 이들 두 가지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워진 바탕에서 ‘국어’라는 교과의 본질적 요소인 ‘언어’의 다면성에 대하여 가장 먼저 고려함으로써 본론의 토대가 완성된다.
  언어의 다면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언어의 본질로서 체계, 행동, 문화를 꼽고, 언어의 기능으로서 사고, 소통, 예술을 꼽는 점을 감안하면, 교재는 이 영역들의 통합성을 추구하는 것이 마땅하다. 교재의 통합성은 국어교육의 목적으로 보아 포괄성을,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보아 균형성을, 국어교육의 방법으로 보아 효율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성취될 수 있다. 그렇다면 평가의 통합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포괄성, 균형성, 효율성의 세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결국 통합적 평가와 관련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재를 하나의 이상으로 제안할 수 있다. 국어과 교재론의 진정한 발전 방향은 국어교육의 본질에 충실한 교재에 대한 논의라야 한다는 데서 찾자는 것을 논문의 전제이자 결론으로 제시한다.

영문 초록

  In debating on the evolutive plan for the theory of Korean-language textbooks, the view on initiatory education and the one on scriptural textbooks should be preferentially reviewed. The various factors of ‘language’, i.e., the essential factor of the Korean-language curriculum, should be considered first and foremost on the premise that it can be free from the above-mentioned fixed ideas.
  In point of the various factors of language the unifiability of textbooks should be realized although system, action and culture belong to linguistic essentiality and thought, communication and art belong to linguistic function. The unifiability of textbooks is realized only when comprehensibility is sustained in point of teleology, when balanceability is sustained in point of contents, and when effectivity is sustained in point of method. Consequently, comprehensibility, balanceability and effectivity should be simultaneously considered so as to realize the unifiability of evaluation. In the end the textbook, which satisfies activities related to unific evaluation, may be considered as an ideal one. Korean-language curriculum may be evolved if and only if its essentiality is fully reviewed. That is presup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conclusion.

목차

〈요약〉
1. 고정관념과 교재론
2. 언어의 다면성과 교재의 통합성
3. 목적론과 교재의 포괄성
4. 내용론과 교재의 균형성
5. 방법론과 교재의 효율성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행(Kim Dae-haeng). (2008).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 (1), 7-23

MLA

김대행(Kim Dae-haeng). "국어과 교재론의 발전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1(2008): 7-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