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분석

이용수 307

영문명
Analysis on the tendency of Korean military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 period of the founding of the Armed Forced after Korean liberation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박효선(Park Hyo-Sun)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평생교육학연구 제13권 제4호, 123~14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12.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창군기인 해방 이후부터 1960년까지 군에서 추진되어 온 군 평생교육 경향을 고찰해 봄으로써 그 역할과 의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동안 군의 평생교육에 관한 역사적인 가치를 발견하고자 하는 연구는 군의 폐쇄적 특성과 자료접근의 한계성 등으로 전무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로서 군 평생교육은 성인교육의 차원을 떠나 개인은 물론 국가발전과 경제·정치·문화 등에 미치는 영향평가와 시대적 경향분석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해방 후 미군정기를 거쳐 한국전쟁과 전후복구 등 격동기에 국방체계를 정립하는데 중요한 정책적 수단과 동력이 된 평생교육의 주요경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이념적 측면에서 국가적 기본이념인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수호와 국방정책의 목표인 의존적 자주국방을 구현하기 위한 반공 민주군대로서 정신무장의 수단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성인 기초교육과 학교보완형 사회교육과 더불어 미국식 민주주의를 뿌리내리기 위한 시민교육의 특징이 있다. 셋째, 평생교육 체제 측면에서 외세의 힘과 관이 주도하는 형태로서의 교육적 특성을 보인다. 결론적으로 창군기의 군 평생교육은 국민으로서 필요한 기본적 자질을 부여해 주는 사회화 또는 국민교육도장으로서도 역할과 초창기 정신교육 및 군심결집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Military training exercise is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missions of the military; however, as the enlisted members become discharged and return to society, the skills obtained through training exercise play a vital role on personal as well as social level. As a nation that is practicing a conscription system, the impact of the military"s life-long education system on our economy, politics and culture, let alone on individual growth, cannot be underestimated. The role of the military is bound to change depending on the phases of the times, as i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egree of a nation"s development and the systematization of its military. In this paper, the role and the purpose of our military life-long education, from its inception till 1960, will be discussed by carefully examining the trends of the time. The Army"s role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included anticommunist education,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development of patriotic perspective, all of which had greatly contributed to the ideological cohesiveness and the combat strength of the military. The Military education had also helped improve the overall level of socialization and citizenship, two qualities intrinsic to the members of a developed socie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창군기(해방 이후~1960년)의 군 평생교육 배경
Ⅲ. 창군기 군 평생교육 활동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효선(Park Hyo-Sun). (2007).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3 (4), 123-148

MLA

박효선(Park Hyo-Sun). "해방 후 창군기 한국군의 평생교육 경향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3.4(2007): 123-1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