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浮休系’의 계파인식과 普照遺風

이용수 672

영문명
The "Buhyu" Line Members" Perception of the "Lines" and the Heritages of Master Bojo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용태(Kim Yong-tae)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보조사상 제25집, 315~359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2.0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浮休系’는 浮休善修(1543-1615)의 法脈을 잇는 系派로서 淸虛休靜(1520-1604)의 ‘淸虛系’와 함께 조선후기 불교계의 양대 계파를 이루었다. 휴정과 선수는 芙蓉靈觀의 동문 제자였고 선수 당시에는 家風이나 嗣法관계상 양자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부휴계는 1609년 이후 曹溪山 松廣寺를 본거지로 하면서 독자적인 계파로서 성장하였다. 즉 선수의 제자 碧巖覺性(1575-1660)이 계파 성립의 기반을 구축한 이래 그 손제자 栢庵性聰(1631-1700)대에 이르러 송광사와 普照知訥(1158-1210)을 매개로 하여 계파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부휴계는 지눌의 저술을 주석, 간행하였고 普照遺風을 선양하고 계승하였다. 또 송광사 浮屠殿에는 부휴계 嫡傳의 부도탑이 師承 순서대로 세워져 있어 부휴계 주류의 계보와 계파인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선수 이후 적전은 碧巖覺性-翠微守初-栢庵聖聰-無用秀演-影海若坦-楓巖世察-?庵最訥-幻海法璘으로 이어졌다. 이중 풍암세찰 문하에서 ?庵最訥, 應庵朗允, 霽雲海澄, 碧潭幸仁의 4傑이 배출되어 이들 네 문파가 근세 부휴계의 주류를 이루었다. 특히 최눌(1717-1790)은 성총과 스승 세찰을 선양, 추숭하는 사업을 활발히 펼쳐서 이에 이르러 부휴계 계파인식은 더욱 공고해졌다.   부휴계는 계파의 정체성과 관련해서는 보조유풍을 중시하면서도, 법통에서는 고려말 太古普愚를 통해 중국의 臨濟宗風을 계승한다고 하는 이중적 인식을 보인다. 太古法統說은 17세기 전반 청허계에 의해 주창되어 불교계의 公論으로 받아들여졌는데 부휴계 또한 이를 수용하여 임제종을 표방하였다. 사상면에서 조선후기 불교의 특징은 看話禪을 우위에 둔 禪敎兼修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승려 교육과정인 履歷課程에 반영되었고 수행체계는 禪, 敎, 念佛을 병행하는 三門修業의 형태로 정립되었다. 이력과정의 四集에는 지눌이 중시하였던 宗密의 『都序』, 지눌이 주석을 붙인 『節要』가 포함되어 있고 大敎에는 지눌의 제자 眞覺慧諶이 편찬한 『拈頌』이 들어있다. 이처럼 조선후기의 수행체계에는 지눌의 사상적 영향이 내재되어 있는데, 그 핵심은 선교겸수였다. 부휴계는 보조유풍을 계승하면서 선교겸수의 입장을 분명히 유지하였고 교학을 중시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교학 중에서 특히 華嚴學이 성행하였는데, 明의 平林葉이 교정 간행한 澄觀의 『華嚴疏?』와 元의 普瑞가 그에 대해 주석한 『會玄記』를 성총이 대대적으로 간행한 이후 ‘화엄의 중흥’이라고 할 정도로 講經과 주석서 편찬이 활발해졌다. 부휴계에서는 慕雲震言, 晦庵定慧, 묵암최눌 등의 華嚴宗師가 배출되어 교학에서도 청허계에 필적하는 성과를 남겼다.   부휴계는 단일한 계보와 독자적인 계파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선교겸수와 교학을 중시하는 가풍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계파의 정체성과 ‘전통’ 형성의 기저에는 보조유풍과 그 계승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so-called "Buhyu" Line(‘浮休系’) was populated by Buddhist priests who claimed to be inheriting the legitimate teachings(法脈) of Master Buhyu Seonsu/浮休善修(1543-1615). Along with the Cheongheo Line(‘淸虛系’) headed by Cheongheo Hyujeong/淸虛休靜(1520-1604), this Line was one of the two major Lines that existed in the Buddhist society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oth masters Hyujeong and Seonsu were all disciples of Buyong Yeonggwan/芙蓉靈觀, and during the time of Seonsu himself, there were no visible differences between them in terms of traditions(家風) and the line of succession(嗣法關係).   Later, since 1609, the Buhyu Line members have settled themselves at the Songgwang-sa/松廣寺 temple of the Jogyae-san/曹溪山 mountain, and became an independent line of its own. Byeogam Gakseong/碧巖覺性(1575-1660), who was the disciple of Seonsu, laid out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ine, and during the time of Baegam Seongchong/栢庵性聰 (1631-1700), who was the member of the next generation, the Line finally established its own identity as an independent line based upon the Songgwang-sa temple and the actions of the historic master Bojo Jinul/普照知訥(1158-1210).   The Buhyu Line members conducted annotations to Master Bojo Jinul"s writings and widely published them, in order to honor and promote the teachings and heritage of Bojo("普照遺風"). At the Budo-jeon/浮屠殿 shrine of the Songgwang-sa temple, the Budo(tab) pagodas of the Buhyu line members are erected in the order of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嫡傳"), which displays the line of succession among mainstream members of the Buhyu Line, and reveals the Line members" perception of their own heritage and hierarchy. After Seonsu, the line of succession shows Byeogam Gakseong/碧巖覺性, then Chwimi Sucho/翠微守初, then Baegam Seongchong/栢庵聖聰, then Muyong Suyeon/無用秀演, then Yeonghae Yaktan/影海若坦, then Pungam Saechal/楓巖世察, then Mugam Chwaenul/默庵最訥, and finally Hwanhae Beobrin/幻海法璘, in order. Among these renowned priests, especially 4 renowned masters(‘四傑’) under the guidance of Pungam Saechal, namely Mugam Chwaenul/默庵最訥, Eungam Nangyun/應庵朗允, Jaeun Haejing/霽雲海澄, and Byeokdam Haengin/碧潭幸仁 were trained, emerged, and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Buhyu Line in the post-medieval(近世) period. The most notable one was Chwaenul(1717-1790), who actively engaged in commemorating his master Saechal and promoting his teachings. His actions truly consolidated the Line members" own perception of the heritage of the entire Buhyu Line.   With regard to the religious identity of the entire Line, the Buhyu line considered the heritage of Master Bojo most importantly. But in terms of the concept of line of teachings(法統), the Line members also shared another belief that they were actually inheriting the teachings of the Imjae-jong school("臨濟宗風") which had supposedly been introduced to the Korean people through Taego Bowu/太古普愚 during the ending days of the Goryeo dynasty. This particular notion of considering Taego"s teachings to be the ultimately legitimate one(the "Taego Beobtong-seol/太古法統說") was suggested by the Cheongheo line members during the early half period of the 17th century, and was established as a theory supported by practically everyone("公論") inside the Buddhist society. The Buhyu line apparently also accepted this generally received notion, and claimed that they have been inheriting the teachings of the Imjae-jong school as well.   In terms of philosophy,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could be named as the Seon-Gyo Gyeomsu/禪敎兼修 principle(the principle of practicing Seon and Gyo teachings together), based upon the notion of prioritizing the Ganhwa-seon/看話禪 practice above all else. This chara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浮休系의 성립과 松廣寺
Ⅲ. 浮休系의 系派 및 法統 인식
Ⅳ. 普照遺風의 계승과 禪敎兼修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용태(Kim Yong-tae). (2006).‘浮休系’의 계파인식과 普照遺風. 보조사상, 25 , 315-359

MLA

김용태(Kim Yong-tae). "‘浮休系’의 계파인식과 普照遺風." 보조사상, 25.(2006): 315-3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