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이용수 531
- 영문명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Using DEA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나민주(Rah Min-Joo) 김민희(Kim Min-Hee)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4권 제2호, 205~2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비영리 조직의 상대적 효율성을 측정ㆍ분석하는 통계기법으로 최근 관심을 모으고 있는 DEA를 활용하여 대학교육의 효율성을 국제적으로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6개의 투입변수와 5개의 산출변수로 종합, 종합교육, 종합연구, 축약, 축약교육, 축약연구 등의 6가지 변수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다시 투입최소화와 산출극대화로 구분하여 총 12가지 효율성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OECD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변동규모수익을 가정하여 DEA 효율치를 산출하였고, 국가별 참조횟수를 분석하여 효율적인 국가를 확인하였으며, 잠재적인 개선가능치를 산출하여 비효율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모형별로 국가별 효율치에 상당한 차이가 보였으나, 우리 나라의 대학교육의 효율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모든 분석모형에서 효율성이 100%로 분석되었고, 투입최소화 조건하에서 가장 많은 참조횟수를 보였다. 산출극대화 조건하에서는 영국의 총참조횟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가 우리 대학정책에 주는 시사점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iciency of higher education worldwide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currently paid attention to as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non-profit organizations. For this work, six variable models- Comprehensive model, Comprehensive Education model,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Contraction model, Contraction Education model, Contraction Research model- were established with six input variables and five output variables. Then, Input minimization and Output maximization were applied to these six variables models, which led to twelve efficiency analysis models in total. Presupposing VRS(Variable Return to Scale), DEA efficiency value of fifteen OECD countries were evaluated and analyzing the number of reference for each country, the efficient country was identified. Evaluating the potential improvement-possibility value, the inefficient factor was also investigated. The efficiency values of each country was very different by the different analysis models. However, the efficiency of Korean higher education appeared to be quite high.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에 있어서 교육비 지출이 학업지속률 및 졸업률에 미치는 영향
- 중등교원 봉급전입금과 의무교육비 국고부담의 쟁점 분석
- 정부보증 학자금 융자제도의 공평성 분석 - 선발 전(前)단계를 중심으로 -
-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 호주(Australia) 소득연동 대여장학금 제도의 구조와 운영 원리에 대한 연구
- 유치원 수업과정(반일제, 시간연장제, 종일제)에 따른 표준교육활동경비 산출 연구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칙 외
- 학생 재등록의도 향상을 위한 대학 서비스 질 측정 사례 연구
- 이공계 기피현상의 경제적 진단
-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