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이용수 675
- 영문명
- Effects of School Choice on Academic Achievement : An HLM Analysis of KEEP
- 발행기관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 저자명
- 전우홍(Woo-Hong Jun) 양정호(Jung-Ho Yang)
- 간행물 정보
- 『교육재정경제연구』 제14권 제2호, 109~13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04년도에 실시한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자료를 이용하여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전국의 일반계 고등학교 100개교에 재학하고 있는 3학년학생 1,702명이다. 주요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의 학업성취 차이 중 71.8%는 학생 개인간의 차이에서 비롯되며, 나머지 28.2%가 학교간의 차이에 기인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학생이 어떤 학교를 다니는가에 의해 학업성취도가 크게 좌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평준화지역 무작위 추첨 배정 학교와 비교여 볼 때 학교 평균 수능 점수가 40-60% 선지원 배정 학교, 100% 선지원 배정 학교, 비평준화학교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행의 평준화제도를 유지하더라도 학생의 학교 배정 방식에 있어 학생의 지원의사가 더 많이 반영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Using the 2004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KEEP) data of 1,702 students in 100 public and private high schools,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 and school factors influence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Reading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To accomodate the nested structure of the data and research questions, we use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ethods to estimate school effects on student CSAT Achievement. In this study, we found that 71.8% variance in CSAT was within students and 28.2% variance in CSAT was between schools. This means that school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academic learning of students in CSAT than we have thought.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more school choices students have, the higher CSAT Achievement schools have. This result suggests that we need to make students have more power in choosing the high school.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미국 대학에 있어서 교육비 지출이 학업지속률 및 졸업률에 미치는 영향
- 중등교원 봉급전입금과 의무교육비 국고부담의 쟁점 분석
- 정부보증 학자금 융자제도의 공평성 분석 - 선발 전(前)단계를 중심으로 -
- 학교선택요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육고용패널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 호주(Australia) 소득연동 대여장학금 제도의 구조와 운영 원리에 대한 연구
- 유치원 수업과정(반일제, 시간연장제, 종일제)에 따른 표준교육활동경비 산출 연구
-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회칙 외
- 학생 재등록의도 향상을 위한 대학 서비스 질 측정 사례 연구
- 이공계 기피현상의 경제적 진단
- DEA를 활용한 대학교육의 효율성 국제 비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