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출판교육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이용수 69

영문명
A Study on the Crisis of the Public Education in the Publishing Circles and on the Establishment of Its Identity
발행기관
한국출판학회
저자명
윤세민(Yun Se-Min)
간행물 정보
『한국출판학연구』통권 제49호, 179~21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12.0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출판인은 어떤 형태로든 출판교육에 의해 탄생한다.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 출판의 문화 생성 및 문화 전달 기능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므로, 출판문화 및 출판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우수한 자질을 지닌 출판전문인력의 지속적인 공급, 즉 출판교육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동안 출판교육은 2년제 전문대학과 특수대학원 등 공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대학에 출판 관련 전공이 설립되기 이전이나 설립 초기 당시에는 대한출판문화협회나 몇몇 사설학원이 출판교육의 일부를 담당하기도 했었지만, 대학을 중심으로 한 제도권 교육이 자리잡은 뒤에는 출판교육도 교육의 본질상 그 중심이 공교육으로 옮겨져 진행되어 온 것이다. 그런데 2002학년도부터 대입 응시생 수가 대학입학 정원보다 부족하게 되면서, 상대적으로 입시 경쟁률이 떨어지는 지방 대학에서부터 출판 관련 전공들이 큰 위기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또한 대학사회에도 신자유주의 경쟁 체제 아래 구조조정 열풍이 몰아치면서, 출판 관련 전공들은 그 전공 명칭이 개칭되거나 타 학과로 흡수 통합되거나 아예 자취도 없이 사라지기까지 하였다. 여기에 출판계의 불황이나 기타 출판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나 환경이 도래하면서 출판의 공교육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맞아 출판 공교육의 위기를 진단하고, 출판/잡지 교육원의 설립과 그에 따른 문제점, 문화관광부의 출판전문인력 양성 정책의 허와 실 등을 검토한 뒤 출판교육의 올바른 위상 정립을 위한 제언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출판전문인력 양성의 확대’라는 측면에선 분명 환영할 일이나, 공교육의 위기 상황 아래 공교육을 도외시 한 출판/잡지 교육원의 설립과 운영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문화관광부의 출판전문인력 양성 정책과 지원에도 여러 허점과 문제점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출판교육의 올바른 위상 정립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했다. 첫째, 출판의 실무적 기능 교육과 출판의 학문적 체계화 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교육연한 등의 한계로 그 실현이 어렵다면 각 교육기관의 특성에 어울리는 출판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출판교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선 4년제 대학에 출판 전공 학과가 반드시 설립되어야 한다. 셋째,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민감한 출판교육이어야 한다. 넷째, 산·학·연·관의 연계가 실제적으로 강화된 출판교육이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 및 출판 수용자를 위한 출판교육이어야 한다.

영문 초록

Publishers are created, in any form, by publishing education. In the ag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the importance of culture creation and culture transmission by the publication gains prominence. Therefore, the continuous supply of qualified publishers by publishing education should b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publication culture and publication industry. So far the publishing education has been undertaken by the public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junior colleges and specific graduate schools, even though Korean Publishers Association and some private institutes had undertaken the publishing education before or immediately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se public institutes, However, the publication departments of the local colleges with the comparatively low acceptance rate have encountered great crises, since 2002 when the full number of admission exceeds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entering colleges and universities. Moreover, with the advent of the strong restructuring fever under the framework of neo-liberalistic competition, the publication departments of the public institutes are forced to change their department name, be integrated into the other departments, or even disappear without any trace. To make matters worse, the depression of the publication industry, the negative cognition of the publication, and the unfavorable circumstances of the publication are putting the publication education by the public institutes into the more serious crisis. This study provides the analysis on the crisis of the public education in the publishing circles in this critical age. This study will also treat with some problem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ation and Magazine Education Center. Third, this study will investigat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raining policies for qualified publishers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Lastly, some suggestions for the correct establishment of the publishing educ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Publication and Magazine Education Center which ignore the public education can cause several problems, event though they should be welcomed in terms of the extension of qualified publishers. And, in this study, we confirm that there are some weaknesses in the training policies and support for qualified publishers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Thus,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correct establishment of the publishing education in this critical age. First, it is desirable to perform the technical and theoretical education simultaneously. But, if the limited length of education time makes it difficult, the proper publication education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ducational institute must be performed. Second, the publication-related departments must be established in the four-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in order to carry out the normal publication education. Third, the publication education must be sensitive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the social needs. Fourth,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related educational-industrial complex must be strengthened. Lastly, the publication education must consider the prospective consumers in the field of the publication.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그에 따른 문제점
Ⅲ. 출판/잡지 교육원의 설립·운영과 그에 따른 문제점
Ⅳ. 문화관광부의 출판전문인력 양성 정책의 허와 실
Ⅴ. 출판교육의 올바른 위상 정립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세민(Yun Se-Min). (2005).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출판교육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 179-214

MLA

윤세민(Yun Se-Min). "출판 공교육의 위기와 출판교육의 위상 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2005): 179-2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