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이용수 903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하대현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19집, 185~2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의 이론적 성격을 개관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 논문의 내용은 교육심리학적인 관점에서 크게 이론적인 부분과 교육 실제 부분으로 나뉜다. 먼저 이론적인 부분에서는 성공 지능이론의 관점이 전통적인 IQ에 근거한 관점과 어떻게 다른지를 제시하면서 그 이론의 성격과 특징을 개관하였고, 다음에 성공 지능이론과 관련된 주요 논쟁(예, 지능 개념의 확장, 성공지능이론의 내용 범위와 구조, 일반요인간의 관계)에 대해 필자의 견해를 밝혔다. 교육 실제 부분에서는 성공 지능이론이 수업 실제(수업 목표, 수업 내용 및 방법, 평가 등)에 제공하는 원리를 중심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언 부분에서는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간략하게 진술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review a triarchic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proposed by R. Sternberg and to discuss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The paper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on the nature of the triarchic theory, consisted of two sections. In the first section, the basic nature of three broad abilities (analytical, creative, and practical abilities) that comprise the triarchic theory was presented and then a dozen of the main differences between successful intelligence view and conventional IQ-based view were offered to mak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triarchic theory clear. In the second section, several major controversies on successful intelligence were discussed, such as the extension of concept of intelligence, relationships among three abiliti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actical intelligence and psychometric g. The second part, on the implications of the triarchic theory for education, dealt with 12 principles of instruction and assessment for successful intelligence provided by Sternberg. The third part, as a conclusion, containe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 for the triarchic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목차
Ⅰ. 서론
Ⅱ. 성공 지능이론의 성격과 특징
Ⅲ.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주요 논쟁
Ⅳ. 성공 지능이론의 교육적 시사점
Ⅴ. 결언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문제 연구지 게재 논문 투고 요령, 논문 심사 및 발간 규정
-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체계모형(systems model)을 기반으로 한‘학교 창의성 체계모형’제안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