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이용수 847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동화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19집, 157~1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수준을 확인하고 이들간에 상관관계가 어떠한지 살펴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서울과 지방에서 초등학교 4, 5, 6학년 아동988명(남507, 여481)을 대상으로 생활사건 스트레스척도와 간이정신진단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학원공부, 교사관계, 공부문제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학년, 지역, 남녀간을 막론하고 일관되게 나타났다. 아동의 스트레스 수준을 배경 변인 별로 차이검증을 한 결과 서울 아동이 지방 아동보다, 4학년이 5, 6학년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은 스트레스를 나타내었으나 남녀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주변인물과의 다툼이나 꾸중과 부모관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정신건강 수준은 전체적으로 강박증, 신체화, 불안, 우울증 등에서 건강상태가 가장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배경 변인 별로 살펴보면 서울 아동이 지방 아동보다, 4학년이 5, 6학년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정신건강 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남녀 사이에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불안과 편집증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정신건강이 심각한 경우를 살펴본 결과 요인들 사이에는 그 출현율에 차이가 적으나 4학년 아동이 예민성(12.5%), 신체화(11.7%), 공포불안(11.4%), 우울증(11.0%) 등이, 서울 아동의 경우 신체화(12.8%), 강박증(11.3%), 공포불안(9.9%) 등이 높은 출현율을 보이고 있다.
셋째,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요인 모두에서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스트레스가 정신건강과 관련된다는 일반적인 가정을 확인해 주는 결과로서 아동의 스트레스를 요인을 줄임으로써 아동의 정신건강을 증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inten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hildren's stress and mental hygien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ygiene of children. A total of 988 primary school children(m: 507, f: 481), 4th, 5th and 6th grader,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completed life event scale and SCL.
Conclusions as follow;
First, the stress level of children on private institute activity, problems with teacher and academic related difficulties was higher than other stress factors. The difference of stress level between seoul and distric children, 4th and 5,6th grader was significant, but not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Second, the children's level of mental hygiene in obsessive-compulsive, somatization, anxiety and depression was bad than others. The difference of mental hygiene level between seoul and distric children, 4th and 5,6th grader was significant, but not between male and female children.
Third,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mental hygiene of children in all factors. We must try to promote children's mental hygiene by reducing stress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 고 문 헌
<부록 1> 생활사건 스트레스 척도 문항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문제 연구지 게재 논문 투고 요령, 논문 심사 및 발간 규정
-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체계모형(systems model)을 기반으로 한‘학교 창의성 체계모형’제안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