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이용수 788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손희권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19집, 111~1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 및 교사들의 지각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 400명을 성, 학년, 학교위치, 그리고 학교특성을 고려하여 무선표집하였고 동 지역 교사 200명을 성, 교직경력, 소속 교원단체, 학교위치, 그리고 학교특성을 고려하여 무선표집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자체 제작한 질문지였다. 자료처리방법은 t검증이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물질적 보상의 경우 상장을 제외하고 학생들이 교사들보다 윤리적이고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비물질적 보상의 경우 그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사 이외의 다른 사람에 의한 체벌의 경우 학교행정가에 의한 체벌에 관해서만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윤리적이라고 생각했을 뿐 그 밖의 경우엔 그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체벌 이외의 처벌의 경우 눈길 등을 통해 주의주기와 말로 나무라기만 학생들 및 교사들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지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을 뿐 그 밖의 경우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윤리적이고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끝으로, 상벌 이외의 학생 규율 방안의 경우 교사의 모범보이기와 상담교사에 의한 상담을 제외하면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윤리적이고 교육적으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영문 초록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n alternatives to teacher-student corporal punishment.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the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in Seoul. 400 students were sampled on the basis of their gender, grade, school location, and school characteristics, while 200 teachers were sampled on the basis of their gender, teaching experience, teacher association or union, school location,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e instrument of the study was self-made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ceived material reward as more ethical and educationally effective than teachers.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thic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non-material reward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ird,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thic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corporal punishment other than the teacher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except for corporal punishment by the school administrator. Fourth, teachers perceived punishment other than corporal punishment as more ethical and educationally effective than students. Final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thics and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student discipline other than reward and punishment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except for role modeling and counselling by the counselo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의 해석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문제 연구지 게재 논문 투고 요령, 논문 심사 및 발간 규정
-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체계모형(systems model)을 기반으로 한‘학교 창의성 체계모형’제안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