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이용수 388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방은령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19집, 87~1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상담실에서의 체계적인 가출청소년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청소년상담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출청소년상담과정을 분석하여, 가출청소년을 상담할 때의 현실적인 한계점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8곳의 청소년상담전문기관의 가출청소년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수집된 것이며, 수집된 자료는 질적인 것으로서, 1단계 원자료에 대한 기술과 2단계 진술내용 중 구체적인 질문에 대한 구조화를 통해 자료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2단계 자료를 토대로 제시된 것이다. 면접기간은 2003년 7월 7일에서 7월 23일까지였으며, 면접은 개별적으로 본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청소년상담실에서 가출청소년상담을 하는 데에는 현실적으로 낮 시간 동안 내방상담을 위주로 할 수밖에 없으며, 시설보호나 가족지원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여, 상담대상과 상담내용이 매우 제한적이라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이러한 한계점들은 제도개선을 통한 인적ㆍ물적 자원확보와 지역사회내 관련기관들의 네트? 구축 및, 학교와의 협력체계를 통해 극복될 수 있으며, 24시간 내방상담과 찾아가는 상담 및 부모상담을 병행하여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출청소년지도에서 상담활동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청소년상담실을 활용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information relating to guidance approach of runaway adolescents in youth counselling center. For this study, raw data obtained from 8 counsellors of 8 youth counselling centers by interview and analyzed by content-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in two aspects;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s impossible for youth counsellors to counsel runaway adolescents in youth counselling center at night. And it's impossible for youth counsellors to counsel runaway adolescents outside of youth counselling center. And it's impossible for youth counsellors in youth counselling center to assist runaway adolescents to provide the necessaries of life - food, clothing and shelter. Second, it's useful for runaway adolescents to provide the various and actual interventions by counselling activities. And it's required for guidance of runaway adolescents to build a network; counsellor, social worker, teacher, police, parents, and doctor. And counsellors need to work with parents in guidance of runaway adolescents. Counseling parents is the most important and effective thing to resolve the problems of runaway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문제 연구지 게재 논문 투고 요령, 논문 심사 및 발간 규정
-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체계모형(systems model)을 기반으로 한‘학교 창의성 체계모형’제안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