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이용수 468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고미숙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교육문제연구 제19집, 25~5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9.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비도덕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상상력과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을 탐구하고,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도덕적 상상력은 어떻게 함양될 수 있는지를 논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상상력의 개념을 전통적 관점과 현대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통합적 관점을 제시한다. 전통적 관점은 상상력을 공상과 환영, 이미지 형성, 정신적인 심상과 관련짓고, 참된 지식과 거리가 먼 비합리적인 능력으로 간주한다. 현대적 관점은 상상력을 지식, 사고, 창의성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통합적 관점은 전통적 관점에서의 이미지 형성으로서의 상상력을 경시하지 않으면서 지식, 사고, 창의성의 입장에서의 현대적 관점 역시 수용한다. 도덕적 상상력은 상상력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토대로 하여, 자아 중심적인 접근으로부터 벗어나 타자의 입장에서 상황을 상상하는 능력이며, 어떤 상황을 인습적인 방식에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보고, 새로운 가능성을 마음에 그리는 능력이며, 다른 사람의 상황을 이해할 뿐만 아니라 감정을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이며, 어떤 상황에서 가능한 결과를 상상하는 능력이고, 타자를 그 자체로 목적으로 대하고, 타자의 복지를 추구하는 능력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상적인 대화, 실생활 경험에 대한 이야기 쓰기나 말하기, 서사적 상상력, 감정이입적 상상력, 역할연기와 역할채택을 제안한다. 또한 상상력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moral imagination as well as methods to cultivate moral imagination. I suggested the integrated approach to define the concept of imagination, which takes both traditional approach and modern approach partly. In integrated approach, I considered imagination is related with image, image- forming as well as thought, knowledge, creativity and invention. Moral imagination based on the integrated approach is the capacity to imagine others' realities beyond the egocentric perspective, imagine new possibility out of conventional approach, understand situations of others and share emotions of others, imagine conceivable outcomes, treat other as end-in-itself and value the other's well-being as an end in itself. Several methods to cultivate moral imagination are imaginal dialogues, telling or writing stories of real-life experiences, narrative imagination, empathic imagination, role-playing and role-taking. I also suggested the role of teacher as stimulating imaginative capacity.
목차
Ⅰ. 서론
Ⅱ. 상상력의 개념
Ⅲ. 도덕적 상상력의 개념
Ⅳ. 도덕적 상상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문제 연구지 게재 논문 투고 요령, 논문 심사 및 발간 규정
- R. Sternberg의 성공 지능이론에 대한 교육심리학적 고찰
- Csikszentmihalyi의 창의성 체계모형(systems model)을 기반으로 한‘학교 창의성 체계모형’제안
- 실존주의 철학에서 본 죽음과 교육
- 청소년상담실에서의 가출청소년지도 ―현실적 한계와 개선방안에 대한 기술연구―
- 체벌을 대체할 학생 규율 방안의 윤리성 및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과 교사들의 지각 비교
- 문제중심학습에 관한 연구 검토 및 실행요소 분석
- 도덕적 상상력 함양을 위한 교육 ―초등학교 도덕교육을 중심으로―
- 아동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