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한국화 교수·학습 모델 연구 - 여백을 중심으로 -

이용수 169

영문명
A Study on the Model of Teaching & Learning in Elementary Korean Painting Educa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blank Spac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정인수(Chung In Soo)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미술교육논총 제18권 2호, 87~10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4.09.0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화의 조형적 특징 중 ‘여백’을 도입한 한국화의 교수·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첫째, 전통에 기초한 한국화교육 내용을 정립하고, 둘째, 교육현장에 서 한국화교육을 쉽게 이해하게 하고, 실천할 수 있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여백은 동양의 허실사상을 예술적으로 구현하는 공간개념으로서 ① 공간의 깊이, ② 간결한 표현, ③ 운치와 여운, ④ 상상력의 증대, ⑤ 주제의 강조, ⑥ 생동감이 있는 구도 등에 관계된다. 이러한 특징들을 도입한 교수·학습 모델이 목표, 대상, 과정, 방법, 교사의 역할, 재료, 분위기, 활동, 정리, 평가 등 수업에 필요한 요소들을 언급한다. 교사들은 이 교수.학습 모델에 기초하여, 자신의 학교와 학급의 조건에 적합한 수업안을 구안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현장의 교사들에게 여백을 도입한 한국화의 직접적인 교수·학습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한국화교육의 정체성 회복뿐만이 아니라 아동의 정서계발과 인성교육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A model for teaching & learning of Korean painting is developed in order to establish contents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based on Korean tradition and to help easy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painting education. The model is based upon ‘blank space’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 painting. The ‘blank space’ is a concept of the space used for expression of oriental emptiness & substantiality theory artistically, which is related to depth of space, concise expression, elegance & aftereffect, increased imagination, emphasis on subject, and vivid composition. The teaching & learning model, which introduces the above mentioned characteristics of the ‘blank space’, takes up every element necessary for teaching including objective, process, methods, roles of teacher & learner, materials, atmosphere, arrangement and evaluation. Teachers can use this model to develope their own teaching plan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school and class. This study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restoring identity of Korean painting education by providing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with teaching & learning materials for Korean painting.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여백의 조형적 특징
Ⅲ. 교수·학습 모델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인수(Chung In Soo). (2004).초등 한국화 교수·학습 모델 연구 - 여백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18 (2), 87-103

MLA

정인수(Chung In Soo). "초등 한국화 교수·학습 모델 연구 - 여백을 중심으로 -." 미술교육논총, 18.2(2004): 87-1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