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이용수 113
- 영문명
- Mythic Elements in O'Neill's Mourning Becomes Electra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윤여복(Yobok Yoon)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71호, 179~20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Eugene O'Neill modernized the stories of the house of Atreus in his tragic trilogy Mourning Becomes Electra. He integrated the legend of Agamemnon, Clytemnestra, Orestes, and Electra into relatively familiar situations of America in the late 1800s. O'Neill's direct model was Aechylus' Oresteia which relates the suffering of the individual to that of community as most Greek tragedy does. But O'.\"eill redefined the focus of his tragedy on the individual and this change in focus makes the meaning of tragedy singular. His trilogy is powered not only by the actions of the individual characters, but also by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motivations that drive each individual character.
AJI members of the house of Manon fall as they can't escape a generation-old family curse and fate. But in Greek myth, community and gods interfere whenever an individual tries to make important decisions as we can see in cases of Clytemmestra and Orestes. In O'Neill's work, with the emphasis on individual actions and psychological motivations. we witness the tragic result of a family attempting to understand and come to terms with its past, present, and future. O'Neill has reinterpreted classical Greek tragedy within the modern framework of family that doesn't operate harmoniously. This dysfunctional family deepens alienation and isolation of all members. Ultimately, O'Neill reworks Greek sources to present modern tragic heroes.
목차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azz in Toni Morrison's Jazz
- 『인도로 가는 길』: 이성, 감성, 영혼의 대화
- Implementing a Literature-Based EFL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
- 셸리의 「몽블랑」: 타자로서의 "그대"
-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 『자에는 자로』: 섹슈얼리티와 법의 갈등, 그리고 결혼의 문제
- 상호침투의 시학: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의 시세계
- 『오늘을 잡아라』에 나타난 수직적 초월
- Cotton Mather's ImagiNation of New England
- 『한 여름 밤의 꿈』: 적극적 상상력을 통한 개체화의 실현
- 솔 벨로우의 단편소설 연구: 「아빠가 되기」와 「은식기」를 중심으로
- 타자 지향의 담론: 핀천의 "브이."와 블랑쇼의 "바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