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에는 자로』: 섹슈얼리티와 법의 갈등, 그리고 결혼의 문제
이용수 88
- 영문명
- Measure for Measure: Conflict between Sexuality and Law, and the Problem of Maniage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김문규(Moon-gyu Kim)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71호, 137~1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Measure for Measure Shakespeare probes uncomfortably deep into the sexual instinct of human being, and dramatizes conflict between sexuality and law as it generates sexual degradation. The play records a concealed, well-guarded perversion as a psychological nightmare. Angelo, who is the main victim of warped view of sexuality, finds his rigid sexual restraints exploded from within. With his case the play makes it clear that what is desired is precisely what is most strictly tabooed, and the taboo perversely intensifies the yearning. Thus, the play dramatizes the felt experience of characters helplessly caught up in tragic situations caused by conflict between sexuality and law.
But the attempt to resolve tragic dilemma through the Duke makes the play problematic. The Duke is an "observer," a voyeur, and a ghostly figure without plausible sexual desire. By his "bed-trick," he used illegitimate sexuality to enforce legitimate marriage. But marriages which the Duke enforces on the character as an amnesty and a punishment erase the distinction between legitimate and illegitimate, chaste and unchaste, wife and punk. Thus, the marriage which the Duke enforces becomes a culmination of the play's unsolved tension between sexuality and the moral order. And the proposed marriage of the Duke to Isabella intensifies the prevailing mood of barrenness rather than copiousness. Marriages and formal happy ending only suggest that marriage is only one solution, at best temporary, for a recurring human problem.
The issue raised in the play precludes a satisfactory resolution, even taking apart from the stability, equity and reciprocity epitomized in its own title. That is why Measure for Measure has been regarded as a "problem play."
목차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azz in Toni Morrison's Jazz
- 『인도로 가는 길』: 이성, 감성, 영혼의 대화
- Implementing a Literature-Based EFL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
- 셸리의 「몽블랑」: 타자로서의 "그대"
-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 『자에는 자로』: 섹슈얼리티와 법의 갈등, 그리고 결혼의 문제
- 상호침투의 시학: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의 시세계
- 『오늘을 잡아라』에 나타난 수직적 초월
- Cotton Mather's ImagiNation of New England
- 『한 여름 밤의 꿈』: 적극적 상상력을 통한 개체화의 실현
- 솔 벨로우의 단편소설 연구: 「아빠가 되기」와 「은식기」를 중심으로
- 타자 지향의 담론: 핀천의 "브이."와 블랑쇼의 "바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