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도로 가는 길』: 이성, 감성, 영혼의 대화
이용수 359
- 영문명
- A Dialogic Approach to A Passage to India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조일현(Ir1-Hyun Cho)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71호, 117~1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essay aims to apply Bakhtin's literary theory to E. M. Forster's A Passage to India. This work is found to have three dialogic dimensions: the voices of intelligence, emotion and soul. Forster seems to try to find out a 'inner harmony' through the dramatization of these voices.
The voice of emotion is embodied in Aziz. His love of dead wife and Mosque shows this. On the other hand, Adela and Fielding represent the voice of intelligence. They try to explain their life and India by reason. All of them have a goal in common to communicate, make friends and understand the world.
Their journey to the Cave is a process of knowing and becoming something new. But their efforts to know the real India is doomed to a failure. The cave represent nothing, which is beyond their abilities of reason and emotion. Their experiences in the cave bring them to the destruction of their friendship, religion and conduct.
The temple section shows the complete circle of life. The festival of Gokul Ashitami blend the opposite elements of life to make a inner harmony of art. The order and the disorder, the clean and the dirty, the reason and the emotion coexist in the festival. Aziz and Fielding is connected again by the voice of Mrs. Moore's soul.
In this work, man's efforts to communicate and find an order make a small circle and repeated endlessly. Every character's voice claims its own right and make its own world, communicating a sense that life is valuable for its own sake.
목차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azz in Toni Morrison's Jazz
- 『인도로 가는 길』: 이성, 감성, 영혼의 대화
- Implementing a Literature-Based EFL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
- 셸리의 「몽블랑」: 타자로서의 "그대"
-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 『자에는 자로』: 섹슈얼리티와 법의 갈등, 그리고 결혼의 문제
- 상호침투의 시학: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의 시세계
- 『오늘을 잡아라』에 나타난 수직적 초월
- Cotton Mather's ImagiNation of New England
- 『한 여름 밤의 꿈』: 적극적 상상력을 통한 개체화의 실현
- 솔 벨로우의 단편소설 연구: 「아빠가 되기」와 「은식기」를 중심으로
- 타자 지향의 담론: 핀천의 "브이."와 블랑쇼의 "바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