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오늘을 잡아라』에 나타난 수직적 초월
이용수 54
- 영문명
- Vertical Transcendence in Seize the Day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정태웅(Taewoong Jung)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TAEGU REVIEW) 제71호, 97~11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6.0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ucien Goldmann's theory of the novel is very close to that of Rene Girard. For Goldmann, the novel is the story of a search for authentic values in a degraded mode, in a degraded society, and this degradation is expressed through the mediatization, the reduction of authentic values to the implicit level and their disappearance as manifest realities. This structure of the novel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of the degraded society.
I tried to analyze Bellow's novel Seize the Day in the light of Goldmann's theory of the novel structure. The protagonist Wilhelm wants to be a man who will realize the 'American dream', such as Gloria Swanson, Charlton Heston, John Rockfeller, Henry Ford. They are the mediators of desire like Amadis in Don Quixote. The degradation of the fictional world, the progress of the ontological sickness, and the increase of metaphysical desire are expressed in mediatization that increases the distance between metaphysical desire and authentic search, the search for vertical transcendence. In a funeral ceremony, Wilhelm gives up his degraded search, and discovers authenticity or vertical transcendence.
The end of the novel is a turning point for vertical transcendence because he converts to a new self from the old self. This means he finds his true self which Dr. Tamkin calls the 'true soul', the opposite of the 'pretender soul'. Authentic value or true self, does not mean the value that the critic or the reader regards as authentic, but that which, without being manifestly present in the novel, organizes itself in accordance with an implicit mode its world as a whole. Wilhelm feels transcendental epiphany when he goes on the subway. It is the same as Emerson's thought. So we can say the true self is the self as a part of the whole.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인용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Jazz in Toni Morrison's Jazz
- 『인도로 가는 길』: 이성, 감성, 영혼의 대화
- Implementing a Literature-Based EFL Curriculum: From Theory to Practice
- 셸리의 「몽블랑」: 타자로서의 "그대"
- 오닐의 작품에 나타난 신화: 『상복이 어울리는 엘렉트라』를 중심으로
- 『자에는 자로』: 섹슈얼리티와 법의 갈등, 그리고 결혼의 문제
- 상호침투의 시학: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즈의 시세계
- 『오늘을 잡아라』에 나타난 수직적 초월
- Cotton Mather's ImagiNation of New England
- 『한 여름 밤의 꿈』: 적극적 상상력을 통한 개체화의 실현
- 솔 벨로우의 단편소설 연구: 「아빠가 되기」와 「은식기」를 중심으로
- 타자 지향의 담론: 핀천의 "브이."와 블랑쇼의 "바깥"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