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들마치』에 나타난 여성, 결혼, 그리고 사회적 제약

이용수 0

영문명
The Marriage, Vision, and Social Barriers for Women in Middlemarch
발행기관
통섭인문학회
저자명
정은주
간행물 정보
『통섭인문학』제3권 제2호, 19~3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지 엘리엇의 장편 소설 『미들마치』에서 중요한 문제 중에서 하나는 엄격한 사회 내의 여성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페미니즘 문제를 다루기 위해 엘리엇은 이상적인 관점에 접근하려는 전형적인 인물로서 도로시어를 소개하고 있다. 평범한 여성으로서 그녀는 급진적이거나 긍정적이지 않지만,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매우 순진한 성격으로 묘사되어 있다. 결국, 그녀는 사회의 제한된 경계 내에서 자신의 열망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그러나 도로시어의 두 번째 결혼으로 그녀는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자아실현을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그녀는 사회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페미니스트로서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을 극복했음을 작가는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George Eliot's novel, Middlemarch, is the issue of women within a strict society. In order to deal with the issue of feminism, Eliot introduces Dorothea as a typical character who tries to approach an idealistic viewpoint. As an ordinary woman, she is not radical or positive, but is portrayed as a very naive character in achieving her goals. Ultimately, she has difficulty in achieving her aspirations within the limited boundaries of society. However, she successfully resolves her worries through her second marriage. In conclusion, the author shows that she has overcome the psychological pain experienced as a feminist due to social restriction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작품의 배경
III. 갈등과 자아실현의 과정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주. (2024).『미들마치』에 나타난 여성, 결혼, 그리고 사회적 제약. 통섭인문학, 3 (2), 19-32

MLA

정은주. "『미들마치』에 나타난 여성, 결혼, 그리고 사회적 제약." 통섭인문학, 3.2(2024): 1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