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양 숭실대학 교가(校歌)의 발굴과 역사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scovery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chool Song of Pyongyang Soongsil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저자명
- 박혜미
- 간행물 정보
- 『고문화』제104집, 101~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평양 숭실대학에서 불렀던 교가의 역사적 의미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숭실대학은 내한선교사들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서구 음악이 도입되었다. 본 논문은 평양 숭실대학의 초창기 교가부터 서울 숭실 재건 초기까지 불렸던 교가의 가사 및 음악적 특징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숭실대학이 추구했던 교육 이념과 기독교적 정신을 고찰했다. 또한 교가가 학생들 사이에서 정체성과 유대감을 고취하고 학교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한 바를 논의했다.
숭실대학의 교가는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민족적 자긍심을 고취하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교가는 학생들에게 단순한 학교 송가 이상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를 통해 학교 공동체 내에서 민족정신이 배양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숭실대학 교가는 특정 학교 문화의 한 부분을 넘어 한국 근대교육의 중요한 상징적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숭실대학 교가는 내한선교사들의 음악적 영향 아래 발전하면서 종교적 의미와 함께 학생들의 학문적 교육과 정신적 수양에도 기여했다. 교가의 가사에는 기독교적 가치와 믿음이 반영되어 있어 학생들에게신앙과 도덕적 책임감을 심어주었다. 교가가 숭실대학의 학문적 목적과 기독교적 이념을 결합한 상징으로기능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숭실대학 교가의 복원 및 현대적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chool songs sung at Pyongyang Soongsil University. Soongsil University was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foreign missionaries, and through this process, Western-style music and school songs were introduced. This paper explores the lyric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songs sung from the early days of Pyongyang Soongsil University until its closure and examines the educational philosophy and Christian spirit that Soongsil University pursued through these songs. Furthermore, it discusses how the school songs contributed to instilling pride among students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school.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ol songs of Soongsil University symbolized the identity of the institution and played a role in strengthening the bonds among its members.
The school songs of Soongsil University also played a role in promoting national pride in line with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time. The songs held significance beyond being mere school anthems for the students, and through them, the spirit of the nation was fostered within the school community. In this historical cont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school songs of Soongsil University went beyond being part of a particular school culture and became important symbolic elements of modern Korean education.
Moreover, as the school songs developed under the musical influence of the missionaries, they not only held religious significance but also contributed to the students' academic education and spiritual cultivation. The lyrics of the school songs reflected Christian values and beliefs, instilling faith and moral responsibility in the students. This shows that the school songs functioned as symbols that combined the academic goals of Soongsil University with its Christian ideals.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these elements and discusses how the school songs can be connected to the Soongsil University of today, ultimately proposing ways to restore and modernize the use of Soongsil University's school songs.
목차
Ⅰ. 머리말
Ⅱ. 교가를 통해 본 평양 숭실대학의 정체성
1. 평양대부흥운동과 최초의 교가
2. 제1교가 제정의 배경과 성격
3. 서울숭실 재건과 제2교가의 제정
Ⅲ. 다양한 형태의 교가와 그 의미
1. 근대 문학의 수용과 문학부가
2. 농과 설치와 농과실습가
3. 근대 체육과 응원가
4. 기타: Soongsil Will Shine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