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Autonomy in Practic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on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251~28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과정 자율화는 교사들이 무엇을 가르치고 평가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는 자율권을 기반으로 하며, 과정중심평가, 교사별 평가 등의 정책, 성취평가제와 절대평가제는 교사 수준에서 학생의 성취도를 진단하고, 피드백을 통해 이를 지원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그러나 최근 수업과 평가의 괴리와 함께 교사의 평가권 보장이 시급하다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같은 상황에서 과연 평가가 학생의 성장을 도울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연구자와 동료 교사들이 협력하여 진행한 실행연구로, 한 학기 동안 공동으로 평가를 계획 및 실행하면서 수업과 평가의 괴리를 줄이고, 그동안 자율적으로 평가를 실천할 수 없었던 문제를 개선하고 더 나아가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동료 교사들은 공동으로 구성한 평가의 의미를 바탕으로 하여 평가를 실천하고자 하였으며 학생의 삶과 경험을 성취기준이나 교과서보다 먼저 고려하고자 노력했다. 실천 과정에서 학생들 또한 교사들이 구성한 평가의 의미에 공감하고, 평가를 자신의 성장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으며, 평가 결과를 활용하고 교육과정과 수업 안에서 평가의 개선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협력적 실행연구의 결과, 연구자와 동료 교사들은 수업이자 평가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성취기준을 공동 해석과 실천의 자원으로 바라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재실행을 할 때 반영할 개선점으로 평가에의 학생 목소리 반영과 교과 융합형 평가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사들의 자율권이나 전문성이 외부로부터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교사 내부로부터 비롯된 것임을, 그리하여 교육과정 자율화의 대안적 접근으로 교사들이 공동체를 이루어 함께 교육실천의 의미를 구성하고 나누는 집단 자율성의 가능성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Curriculum autonomy is base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authority, encompassing decisions about what to teach and how to evaluate students. This autonomy forms the foundation for policies such as process-oriented and classroom assessments. While policies like criterion-referenced assessment and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s are designed to help teachers diagnose and support students' learning, a growing disconnect between instruction and assessment reveals how teachers' evaluation rights remain limited. This limitation, coupled with increasing demands for teachers' expertise and autonomy, highlights the urgent need to strengthen teachers' rights in assessment. This study is an action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researcher in collaboration with colleagues who share these concerns. It focuses on assessment practices, along with the reflections and challenges we encountered throughout the process. Furthermore, the study aims to address the gap between instruction and assessment, and to resolve the challenges faced in implementing teachers autonomy in practice.
The researcher and colleagues aimed to implement assessment practices grounded in a collaboratively constructed understanding of assessment's purpose, prioritizing students' lives and experiences over curriculum standards or textbooks. Above all, efforts were made to help students move beyond their pre-existing perceptions of assessment, encouraging them to resonate with the meaning crafted by teachers and view evaluation as a tool for their own growth. Through this joint practice, the researcher and colleagues explored new possibilities for integrating instruction and assessment, viewing curriculum standards as resources for shared interpreta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 and thus opening up alternative approaches to curriculum autonomy. Through iterative cycles of collaborative reflection and reevaluation, the study identified critical areas for further exploration, including the incorporation of student voice into assessment practices and the potential integration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his study argues that teachers’ autonomy and expertise are not granted externally but rather arise from within, advocating for “collective autonomy” in which teachers form communities to jointly construct and share the meaning of educational practi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curriculum autonomy.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 대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학업지연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온라인 NCS 피부미용실습 수업에서 교육환경과 능력단위인지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