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Designing a Field-Connected Practicum Curriculum: Insights from the Pilot of a Practicum Semester System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한지희 문민지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59~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육실습은 교원양성기관인 사범대학과 중등학교 현장 간의 사실상 유일한 연결고리이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실습은 대학과 실습협력학교의 협력과 연계가 바탕이 되어 유기적으로 기능하기보다는 실습협력학교가 실습생을 전적으로 도맡아 지도하는 위탁 교육의 형태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과 중등학교 현장 간의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의 설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3학년도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에 참여한 10개의 사범대학의 결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과 실습협력학교는 실습 교육과정의 설계를 재구조화하고 운영을 체계화 함으로써 실질적인 연계와 협력을 도모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실습의 현장성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racticum serves as the primary connection between colleges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secondary schools. However, a persistent issue with the current practicum model is that it functions as a form of delegated education, where the practicum school assumes full responsibility for the practicum student, rather than fostering organic collaboration and linkage between universities and practicum schoo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designing a field-connected practicum curriculum that emphasizes strong partnerships between universities and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is, we analyzed the outcome reports from 10 universities that participated in the pilot implementation of the practicum semester system during the 2023 academic year. The findings reveal that universities and practicum schools have restructured the practicum curriculum and systematized its operation, enhancing cooperation and collabo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reinforcing practical training in the fiel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대학-실습협력학교 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
IV.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 대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학업지연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온라인 NCS 피부미용실습 수업에서 교육환경과 능력단위인지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