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ours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조재성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131~15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 예비 교사의 창의적 체험활동 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과목에 적합한 내용과 방법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반복적인 실행과 성찰을 통해 귀납적 결론을 생성하는 실행연구를 활용하였다. 약 1년 6개월 동안 3번에 걸쳐 과목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고 수정하였으며 그 결과 A 교육대학교의 맥락에 적합한 과목의 내용, 수업 방법, 평가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성찰을 통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개념적 지식, 국가 교육과정 지식, 모의 수업 경험, 참관 경험 등이 예비 교사에게 교육적인 의미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행연구를 통해 드러난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과목의 내용과 방법은 향후 연구자의 교육 활동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을 주제로 강의를 준비하는 교수자들에게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과목의 필수 지식에 관한 지속적인 논의, 예비 교사와 교수자를 위한 학교 현장의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사례 보급, 학생 중심 수업 방식 개발,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과 학점 개편, 대학 수업 연구에 관한 지속적 인센티브와 지원 제공 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effective content and method for the cours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ducation’ to enhanc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ies. Action research, which utilizes implementation and reflection to produce inductive insights, served a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Over an 18-month period, the course content and instructional methods were developed and revised across three steps, resulting in a curriculum tailored to the educational context of A University. Reflections during the process highlighted that pre-service teachers derived significant educational value from acquiring conceptual knowledge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national curriculum, gaining teaching experience, and engaging in classroom observation.
The findings of this action research regarding the content and methods of th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ducation’ course are anticipated to benefit not only the researcher’s future instructional efforts but also provide a valuable reference for educators preparing lectures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Based on the study's outcome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proposed: ongoing discussion regarding essential knowledge areas for the course, dissemination of case studies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rom school settings to inform pre-service teachers and instructors, development of student-centered teaching methodologies, revision of curricula and credit systems in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sion of sustained incentives and support for research on university instruction.
목차
I. 들어가며: 대학 교수자의 끝나지 않는 고민
II. 실행연구의 절차와 방법
III.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의 개발과 운영
IV. 나가며: 멈추지 않는 도전과 실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 대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학업지연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온라인 NCS 피부미용실습 수업에서 교육환경과 능력단위인지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