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Supporting System for Community of Teacher Curriculum : Based on the domestic application of the IB MYP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변현정 백종민 이현아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481~51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IB 중등프로그램(MYP) 운영 학교의 교사가 경험한 교사 교육과정의 공동체성을 지원하는 체계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B MYP를 국내에 적용하고 있는 학교의 교장, 코디네이터, 교사 등 다섯 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내용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뒷받침하는 자료로 IB MYP를 초기에 도입한 다섯 개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또한 MYP 프레임워크를 설명하는 IBO의 공식적 문서들과 IB MYP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터뷰, 교육과정 운영 사례, 문헌 세 종류의 자료를 관련지어 분석하는 삼각검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목표로 교육과정을 운영할 때, 교사 교육과정의 공동체성이 발휘되기 위해서는 ‘정례화된 교육과정 협의회, 교육과정 체계의 공유와 유연한 운영, 교육과정 중심의 조직적 구조와 리더십’의 세 가지 지원 체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교육전문가인 교사가 교육과정 공동체성을 발휘하면서 교육 현장에서의 혁신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다음의 사항이 뒷받침되었다. 첫째, 교육과정 중심 논의가 이루어지는 교사협의회가 정례화되어 운영되었다. 둘째, 교과협의회에서 논의의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 체계(교과목 개요)가 공유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구성의 핵심 사항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 재구성 논의가 원활하게 진행되었다. 셋째,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전문성을 발휘하며 주도적으로 교육 현장의 변화를 이끌어 나갈 수 있도록 학교의 조직 구조와 리더십이 뒷받침되었다. 새로운 역할자인 코디네이터가 교육과정 리더로서 리더십팀에 참여하였고, 행정 중심에서 교육 중심으로 리더십팀의 논의를 전환하였으며,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과 자율성 간의 일관성 있는 연계를 시도하였다. 또한 교사 공동체에 다양한 리더십 역할이 부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 및 한계점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ystems supporting teacher curriculum community as experienced by teachers at schools implementing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Middle Years Programme (IB MYP) in South Korea.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participants including principals, coordinators, and teachers from schools implementing the IB MYP in Korea,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methodology. As supporting evidence,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cases of five schools that initially adopted IB MYP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dditionally, IBO's official documents explaining the MYP framework and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IB MYP were analyzed. To ensure research validity and reliability, triangulation methodology was applied by analyzing three types of data in relation to each other including interviews, curriculum implementation cases, and literature. Th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three support systems are necessary for fostering teacher curriculum community when operating a curriculum aimed at students' holistic growth: 'regularized curriculum council meetings, sharing and flexibl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curriculum-centered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eadership.' The following factors supported teachers as educational professionals in exercising curriculum community and leading innov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First, teacher councils focusing on curriculum-centered discussions were operated on a regular basis. Second, the curriculum framework (Subject Group Overview) that formed the core of subject council discussions was shared. Based on this, discussions on curriculum reconstruction centered on key curricular elements proceeded smoothly. Third, the school's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leadership supported teachers in exercising their expertise and proactively leading changes in educational settings. The coordinator, as a new role, participated in the leadership team as a curriculum leader, shifted leadership team discussions from administrative to educational focus, and attempted to consistently link teacher curriculum community with autonomy. Additionally, various leadership roles were assigned to the teacher community.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고찰
III. 연구 방법
IV.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 지원 체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공학도구 활용 교사교육을 통한 수학수업 전문적 노티싱(professional noticing) 변화
- 예비교사의 관점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생-중심 교수·학습에 근거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지도 방법 탐색
- 수학적 문제해결 역량 교육을 위한 ChatGPT 활용 방안 탐색: 분수의 나눗셈 문장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진단 및 피드백 성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