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5
- 영문명
-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Competencies: 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호준 박소영 박수정 차성현 박상완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41권 제4호, 81~10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여 교육환경변화 가운데 우선순위가 높은 역량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중등 현직교원 954명과 예비교원 647명 등 총 1,6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IPA 분석 등을 활용해서 우선순위가 높은 교사 역량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이해, 교과지식, 생활지도, 의사소통, 수업설계 등 전통적으로 중요하게 여겨 왔던 교사역량이 여전히 중요도가 높은 역량임을 확인하였다. 교사 역량의 실행도와 관련해서 학교현장이해, 다교과융합, 진로지도, 교육정책이해, 교직실무, 생활지도 등에 대한 실행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셋째, 교사역량의 요구도 분석 결과, 생활지도, 학생이해, 수업설계 등 세 가지 역량의 요구도가 가장 높은 최우선 역량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생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반영해서 교육과정을 편성 및 운영하는 교육 활동 강화, 생활지도와 관련해서 현장 사례 중심의 사례학습(case study)과 실행연구(action research) 강화 등 정책 당국과 교원양성기관에 제언하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of teacher competencies in order to identify those competencies that are prioritized in the context of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aims to draw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601 participants, including 954 in-service teachers and 647 pre-service teachers across the country. The study employed methods such as Borich's needs analysis, the Locus for Focus model,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o derive the most prioritized teacher competenci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competencies traditionally regarded as important—such as understanding students, subject knowledge, classroom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continue to be highly valued. However, in terms of the performance of teacher competencies, competencies such as understanding the school environment, interdisciplinary teaching, career guidance, understanding educational policy, teaching practice, and classroom management were evaluated relatively low. Additionally, our findings indicated that classroom management, understanding students, and instructional design were the highest-priority competencies with the greatest demand.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authorities and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목차
I. 서론
II. 교사 역량의 개념과 구성요소와 도출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의 AI 테크놀로지 활용 실태와 인식 및 AI 관련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역량 분석
- 초등교사의 AI·디지털 리더십 발휘 양상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인성교육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 다차원 정책 분석을 통한 교원역량개발지원제 도입 방안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 현장연계형 실습 교육과정 설계 가능성 탐색: 학교현장실습학기제 시범운영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교사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 분석: 초・중등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 교육대학교에서의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론’ 교과목 개발과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 오스트리아 무직슐레(MusikSchule) 체제 도입을 위한 모차르테움(Mozarteum) 국립음악대학교 전문 음악교원 양성 교육과정(IGP) 고찰 연구
- 교육실습이 중등 예비교사들의 직업성숙과 지식·학습관에 미치는 영향
- 은유 분석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의 ‘실습생으로서의 나’에 대한 인식
- 고교학점제 최소 성취수준 보장 지도에 대한교사의 인식 및 실천 양상 사례 연구
- 초등교사의 교육 신념 변화 양상 분석
- ‘교권 보호 5법’ 개정 과정 분석 :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중심으로
- 구도심 소규모학교에 전입한 초등교사의 경험과 조직사회화 전략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교사들의 자율권 실천에 관한 협력적 실행연구: 학생평가를 중심으로
- 중등교사가 지각한 분산적 리더십, 심리적 주인의식, 잡 크래프팅,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 교원양성기관 평가・인증제 도입의 필요성 및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예비 영유아교사의 학교현장실습과 만족도가 교직 인성 및 영유아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육과정 공동체성 지원 체계 탐색:IB 중등프로그램(MYP) 국내 적용 사례를 바탕으로
- 교사의 미래교육역량 진단지표 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PACE 모델에 기반한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조절 시도 경험
- 대학생의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과 학업지연행동의 이중매개효과
- 온라인 NCS 피부미용실습 수업에서 교육환경과 능력단위인지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