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주시 소재 ‘국고개’의 어원에 대한 斷想

이용수 0

영문명
A Speculative Study on the Etymology of 'Gukgogae' in Gongju
발행기관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저자명
김현주
간행물 정보
『교육논총』제61권 제4호, 17~26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충남 공주시 중동과 옥룡동을 잇는 ‘국고개’어원에 대한 논의이다. 현재 이 고개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 즉 고려 시대에 공주 마을에 이복이라는 향리가 살았는데, 어머니가 병에 걸리자 고깃국을 끓여드리기 위해 부잣집에서 일을 하고 국을 얻어 집으로 돌아오다 이 고개에서 국을 엎지르게 되었고, 어머니께 드릴 국을 쏟은 것을 슬퍼하며 그 자리에 주저앉아 슬피 울어서 이후 사람들이 이 고개를 '국고개'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복이 국을 쏟은 고개’라는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 ‘국’과 ‘고개’를 선택하는 것은 일반적인 합성어 형성 방법에서 보아 희소한 경우가 된다. 또한 자연물의 명칭이나 지명에 대한 설화는 후대의 사람들이 그럴듯하게 꾸민 겨우가 많다. 울산에서 금강산을 향해 가다 설악에서 잠시 쉬다가 그곳에 멈췄다는‘울산바위’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국고개’라는 명칭과 관련된 설화도 창작일 가능성이 있다. 본고는 ‘국고개’의 이칭인 ‘궂고개’와 ‘구들개’를 검토하여 이들로부터 ‘국고개’가 나왔을 가능성과, 아울러 ‘굽고개’라는 명칭도 어원의 후보가 될 수 있고 이로부터도 ‘국고개’가 나왔을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그 근거로는 자음과 자음이 만날 때 발생하는 빈번한 음운 현상인 변자음화를 내세웠다. 이 논의는 어디까지나 발상의 수준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차후 다른 지명이나 사료를 통해 면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지 그 신뢰성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tymology of "Gukgogae," a toponym referring to a hill connecting Jungdong and Ongnyong-dong in Gongju City, Chungnam Province, South Korea. The current etymological explanation, rooted in local folklore dating back to the Goryeo Dynasty, attributes the name to an incident involving a filial official named Lee Bok.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such an explanation may be a post hoc rationalization, a common phenomenon in folk etymologies. The research critically analyzes the linguistic plausibility of the current explanation, noting that the compound formation of "guk" (soup) and "gogae" (hill) to denote "the hill where Lee Bok spilled soup" deviates from typical Korean compound word formation patterns. Furthermore, the study draws parallels with other instances of folkloric explanations for natural landmarks, such as "Ulsanbawi," to illustrate the prevalence of retrospective narrative construction in toponymic folklore. This paper proposes alternative etymological hypotheses based on the hill's alternative appellations, "Gutgogae" and "Gutdeulgae," as well as considering "Gupgogae" as a potential etymological precursor. The study employs phonological analysi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process of velarization, a common consonant assimilation phenomenon in Korean, to support these hypotheses. While acknowledging the speculative nature of these propositions, this research aims to initiate a more rigorous, linguistically-grounded discourse on the etymology of "Gukgogae."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further investigation, including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toponyms and examination of historical records, to substantiate these hypotheses and contribute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toponymic evolution.

목차

I. 서론
Ⅱ. 국고개에 대하여
Ⅲ. ‘국고개’의 어원에 대한 대안 가설
Ⅳ.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주. (2024).공주시 소재 ‘국고개’의 어원에 대한 斷想. 교육논총, 61 (4), 17-26

MLA

김현주. "공주시 소재 ‘국고개’의 어원에 대한 斷想." 교육논총, 61.4(2024): 17-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