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술교육가의 개념 변화와 정책과 현장에서의 추동관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10

영문명
A Study on the Conceptual Change of Art Educators and the Driving Relationship between Field and Policy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5호, 311~3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05년 문화예술교육법 제정 이후 문화예술교육은 정책에 의해 개념이 세워지기도 흔들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가운데 문화예술교육의 저변에 관한 확대와 변화 속에서 교육 수행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실천가로서 가르치는 예술가: 티칭아티스트(TA)의 역할적 한계 및 지원 제도의 개선을 위한 앞선 연구에 대한 의견으로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개념과 목적을 이해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통한 우리나라의 문화예술교육지원정책에 대한 검토 및 사례 분석으로 문화예술교육 목표에 따른 예술교육가(TA)의 역할과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특징을 반영한 문화예술교육론의 부재로 인하여 예술교육가의 교육을 수행함에 있어 개인적 역량으로 무마하도록 책임을 전가하였고 이는 곧 전문인력으로의 시장진입이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를 위해서는 현실적 정책연구와 더불어 문화예술교육의 전문가들이 문화예술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을 확고히 다짐으로 예술교육가의 역할의 위치를 다질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를 기대한다. 예술교육가의 역할은 단순히 문화예술을 알리고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으며 교육적 본질에 맞추어 생애주기별 혹은 전 생애와 공간적 한계를 벗어나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교육의 실천가로 인식될 수 있다. 즉, 우리나라의 특성을 반영한 정책과 교육론을 확립하여 이를 통해 가르치는 예술가, 교육자로 예술가의 개념 및 방향성, 즉 정체성을 다질 수 있는 근거와 요소, 체계, 기반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in 2005, the concep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been established or shaken by policies. In the midst of the expansion and change of the b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 is an opinion on previous research to improve the role limitations and support system of artists teaching artists (TAs), and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purpo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this end, the role and direction of art educators according to the goal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by reviewing and analyzing Kore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upport policy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due to the absence of the the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flecting Korea's characteristics, the responsibility was transferred to cover up the education of art educators with personal capabilities, which led to the conclusion that it was difficult to enter the market as a professional manpower. To this end, it is expected that experts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long with realistic policy research, will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role of art educators by firmly determining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role of an art educator is not just to inform and present culture and art, but can also be recognized as an educational practitioner who can encompass both by life cycle or beyond the spatial limitations of the entire life and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essence. In other words, the basis, elements, systems, and foundations for establishing the concept and direction of the artist as an artist and an educator who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and teaches through this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문화예술교육의 배경: 정책과 개념의 추동
Ⅲ. 국외의 문화예술교육정책과 예술실천가 개념
Ⅳ. 한국의 문화예술교육정책환경에서 예술교육가
Ⅴ. 나가는 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4).예술교육가의 개념 변화와 정책과 현장에서의 추동관계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9 (5), 311-334

MLA

. "예술교육가의 개념 변화와 정책과 현장에서의 추동관계에 관한 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19.5(2024): 311-3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