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예측 분석과 맞춤형 교육전략 제시
이용수 10
- 영문명
- Machine Learning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Recommendations for Personalized Learn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 저자명
- 나은창
- 간행물 정보
-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7권 제4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머신러닝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 수준을 분류하는 예측 변수의 최적 모델을 도출하고, 중요도 높은 변인을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잠재집단을 유형화하여 맞춤형 교육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 대학교 58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MLST-Ⅱ 학습전략검사 도구를 활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자기주도학습 수준(고집단·저집단)이며, 설명변수는 성격, 동기, 정서, 행동 특성으로 구성된 19개 변수이다. 분석 방법은 머신러닝의 4가지 알고리즘(랜덤포레스트, 인공신경망, 서포트벡터머신, XG-Boost)을 적용하여 예측 모델을 확인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 수준을 분류하는 최적의 예측 모델은 ‘서포트 벡터 머신’으로 나타났고, ‘성실성’이 가장 높은 중요 변수로 분석되었다. 둘째, 4가지의 머신러닝 알고리즘은 성격 및 동기 특성에서 공통적으로 ‘성실성, 효능감, 결과기대, 학습동기'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행동 특성은 머신러닝에서 공통적으로 ‘시험전략, 노트필기, 읽기전략, 기억전략, 수업듣기'가 중요한 변수로 설명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자기주도학습 저집단 학생의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후 교수학습센터 중심으로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전략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optimal model that classifies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using machine learning analysis. we categorize latent learner groups on the basis of high-importance variables and suggest personalized learning strategies. MLST-II tool for the assessment of learning strategies was employed for 586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C. Four machine learning algorithms(Random Forest, Artificial Neural Network, Support Vector Machine, and XG-Boost) were used and then latent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his study showed that the optimal predictive model for classifying self-directed learning levels was found to be the Support Vector Machine, and Diligence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nd 'Diligence,'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commonly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Also, 'Test strategy,' 'Note-taking,' 'Reading strategy,' 'Memory strategy,'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commonly highlighted as key variables in behavioral trai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employed a latent profile analysis of students with low levels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proposed personalized educational strategies.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디자인 씽킹 유형별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몰입, 성취동기 및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생애설계에 대한 요구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학습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능동적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I대학을 중심으로
- 청소년활동 관련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경험 분석
- 대학에서의 온·오프라인 융합수업 운영 효과 및 개선방향에 대한 교수자 인식 탐색
-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예측 분석과 맞춤형 교육전략 제시
- 대학생의 특성에 따른 학습역량 차이 분석: A대학을 중심으로
- 대학 강의평가 하위 교수자들의 경험 구조 탐색: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교직 적·인성 검사와 정신건강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MMPI-2를 중심으로
- PDCA 모형을 적용한 대학 CTL 프로그램 평가 및 환류체제 개발 및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