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교과 교사의 특수학교에서의 교육경험과 의미
이용수 6
- 영문명
- Vocational Subject Teachers' Experience and Meaning of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유수리 임경원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9권 제2호, 81~11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교과 교사의 특수학교에서의 교육 경험을 들어봄으로써 특수교육과 특수학교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특수학교의 직업교육에 대한 그들의 견해는 어떠한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근무 경험이 있는 전문교과 교사 8명과 개별 면담하였고,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학교라는 낯선 세계’, ‘특수학교를 접하고 달라진 나’, ‘내가 바라본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3개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 28개의 의미 단위를 구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전문적이고 다양한 직업 교과 경험을 위해 전문교과 교사의 특수학교 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전문교과 교사에게 발달장애의 특성 및 발달장애학생 교수-학습 지도에 관한 연수를 제공하여야 하고, 셋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수립 및 개별화된 직업교육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함을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have changed their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and special schools by listening 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their views on vocation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To this end, eight teachers in specialized subjects with experience working in special school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n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upper categories, nine lower categories, and 28 semantic units were composed of 'The unfamiliar world of special schools', 'me who changed after entering a special school', and 'my view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rrangement of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at special schools for the professional and diverse vocational subject experience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fessional subject teachers with train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eaching-learning guidanc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in preparation for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curriculu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nd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individualized vocational education. Discussion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4차 산업시대 대학교육 품질관리를 위한 전공 소단위 교육과정 인증체계 방안
-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Mothers’ Coercive Parenting and Aggression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경계선 지능 초등학생의 잠재적 개발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의 교육적 지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