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교사가 경험한 인구감소지역 소규모학교의 통합교육 고찰
이용수 65
- 영문명
- An Inquir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sion Experiences at Small Schools in Depopulation Areas
-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학회
- 저자명
- 서선진 김주혜
- 간행물 정보
- 『통합교육연구』제19권 제2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지역의 소규모학교에서 장애 학생을 포함한 통합교육 운영과 관련하여 특수교사의 경험과 인식을 탐구하였다. 인구가 급감 중인 중소도시나 농산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에서 통합교육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초·중·고 특수교사 10명을 면담하고, 귀납적 방법인 주제 분석법을 통해 3개의 주제와 13개의 하위주제를 추출하였다. 소규모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통합교육은 장애 학생의 맞춤형 학습지원과 자연스러운 장애 이해 문화를 형성하는 데 유리하였다. 그러나 지역사회의 부족한 교육 자원이나 소수의 인력만으로 장애 학생이 가진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학교 단위의 방과 후 프로그램 운영, 통학버스 운영 시간 등의 이유로 정규수업 이외의 시간에도 장애 학생을 지원할 수밖에 없는 상황, 중도중복장애 학생 지원에 따른 전일제 특수학급 편성 등으로 특수교사의 업무 범위가 늘고 부담이 가중화되었다. 교사들은 소규모학교의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해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 맞춤형 장애 이해 교육 확대, 개별화교육의 강화, 지역 특성을 고려한 통합교육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사회 변화에 따른 지역 특성과 소규모학교의 맥락을 고려한 통합교육 활성화에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clusion experiences at small schools in depopulation areas. Nine special educator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The teachers have enacted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mall towns in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 A qualita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was used to develop the themes about these teachers’ experiences. The teachers witnessed small schools had an efficient environment both to address the individu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build a friendly climate for inclusive education. However, the teachers had trouble supporting their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e to a lack of school personnel and resources available in small tow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educational context in small schools tends to ease the collaboration between general and special education, which promotes social and instructional inclusion for diverse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More instruc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is needed to enhance inclusive education in small school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생의 현실세계 학교폭력 피해 유형과 사이버폭력 피해 유형 간 전이 양상 및 심리적 특성
- 대학원생의 상담자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CQR 중심으로
- 대학생의 창의적 메타인지와 동기 및 창의성과의 관계에서 창의적 잠재력의 조절효과: 컨템포러리 댄스의 관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