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 자연미술 실외놀이 실행의 실제
이용수 58
- 영문명
- Actual Practice of Outdooor Natural Art Play for toddlers
- 발행기관
-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영 김정준
- 간행물 정보
-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제11권 제3호, 97~12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의 자연미술 실외놀이 실행과 그 과정에서 나타난 영아의 경험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S시 Y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만 2세 두 학급의 영아 14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관찰일지, 심층면담, 교사 저널, 교사 협의내용, 놀이 활동안, 보육일지 등을 수집하여 자료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1차 실행에서 안전에 대한 우려, 교사의 자연미술 활동의 두려움, 물리적 공간 부족 문제가 제기되어 보조 인력 지원과 실행계획안 제안, 지역사회 환경 활용의 해결 방안이 마련되었다. 2차 실행에서는 자연미술 활동에 대한 이해 제고를 위해 교사 교육을 시행하여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자연미술 활동의 실천 역량을 높일 수 있었다. 또한 영아의 놀이가 확장되지 못할 때 교사가 적합한 그림책을 읽어주었다. 실행 과정에서 영아는 인지적 경험이 나타났으며 예술적 감성이 풍부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영아반의 자연미술 실외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계획, 실행(관찰), 평가와 성찰, 재 계획함으로써 영아의 자연미술 실외놀이의 구체적인 실행 과정을 제시하고 영아의 인지적, 예술적 경험과 표현을 도울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ddlers’ experience during outdoor nature art play in toddler class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4 two-year-old children attending Y Daycare Center in S City, utilizing an implementation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logs, in-depth interviews, teacher joumals, teacher consultation records, play activity plans, and childcare logs. During the first phase of implementation, concerns about safety, teacher’s apprehension toward nature art activities, and lack of physical space emerged .Solutions were proposed, including the provision of auxiliary personnel, development of detailed implementation plans,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In the second phase, teacher training was provid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nature art activities, which improved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confidence in conducting such activities. In addition, when toddles’ play lacked development, teachers read relevant picture books. Throughout the process, toddlers showed cognitive experiences and their artistic sensibilities were enriched. This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a specific approach to outdoor nature art play, involving planning, implementation (observation), evaluation, reflection, and re-planning. This process supports toddlers’ cognitive and artistic development, offering insights into how these activities can enrich their experiences and express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립병설유치원 원감이 이해하는 원감의 일 탐색
- 영유아 자녀의 미디어 사용 및 지도 경험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교육 요구
-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성과와 개선 방안 분석: LDA 토픽 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의 활용
-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한 유치원의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연구
- 영아 자연미술 실외놀이 실행의 실제
- 영유아 교육과정에 내포된 돌봄과 교육의 통합에 대한 탐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에 대한 은유 분석: 사전실습과 정규실습을 중심으로
-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예비유아교사 ‘교사 되어가기’의 의미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