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성과와 개선 방안 분석: LDA 토픽 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의 활용
이용수 84
- 영문명
- Analysis of the Major Achievemen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Utilizing LDA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 발행기관
- 구성주의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김윤희 박건령
- 간행물 정보
- 『구성주의유아교육연구』제11권 제3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LDA 토픽 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성과와 개선 방안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9년부터 2022년 사이에 발표된 연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실행 초창기 시기와 관련된 주요 동향과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 교사들의 교육적 관점과 놀이 중심 접근법에서의 중요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유아들의 놀이중심 교육에 대한 만족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철학적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부모의 오해 및 불충분한 행정적 지원과 같은 외부적 장애 요인도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본 연구의 주요 방법론적 특징은 잠재 디리클레 할당 알고리즘에 기반한 토픽 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을 종합하여, 전통적인 질적 분석에 내재된 주관성을 완화하고 통계 기반의 해석을 함께 제공한 점이다. 이러한 포괄적인 분석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특정 기간 내에 발표된 연구들에 국한되었다는 제한점이 있기에 최신의 데이터를 포함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해 교사교육 지원의 강화, 행정적 지원의 확대, 그리고 학부모와 사회 전반의 인식개선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평가와 환류의 중요성과 이에 관한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제언은 한국의 유아교육 질 향상을 위한 향후 유아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major achievements and improvement strategie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using topic modeling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Research conducted from 2019 to 2022 was examined to identify key trends in the curriculum's early implementation.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eachers'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play-based approaches, along with increased satisfaction among children. However, challenges such as teachers' psychological and philosophical struggles, parental misunderstandings, and insufficient administrative support were noted. This study's integration of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modeling and qualitative meta-analysis reduced subjectivity, offering statistically based interpretations. Despite its comprehensive analysis, the study is limited by its timeframe, suggesting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with more recent data.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eacher education, expanding administrative support, and improving parental and societal awareness for successful curriculum implementation. This study also calls for better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 processe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future revis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a in Kor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립병설유치원 원감이 이해하는 원감의 일 탐색
- 영유아 자녀의 미디어 사용 및 지도 경험에 따른 미디어 리터러시 부모교육 요구
-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놀이성, 교사-유아상호작용 간의 구조적 관계
-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주요 성과와 개선 방안 분석: LDA 토픽 모델링과 질적 메타분석의 활용
- 구성주의 철학에 기반한 유치원의 방과후과정 운영에 대한 질적 연구
- 영아 자연미술 실외놀이 실행의 실제
- 영유아 교육과정에 내포된 돌봄과 교육의 통합에 대한 탐구
-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한 교육실습에 대한 은유 분석: 사전실습과 정규실습을 중심으로
- 존재론적 관점에서 본 예비유아교사 ‘교사 되어가기’의 의미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학교 광합성 개념에 대한 교사의 지도 개념과 학생의 획득 개념 사이의 개념 네트워크 분석
-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한 과학 탐구 수업 구성 모델 개발
- Identification of Brain Activity Patterns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on Metaverse-based Ecosystem: An fNIRS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