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경험
이용수 155
- 영문명
- Job Experiences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휴먼서비스행복연구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휴먼서비스문화연구』제6권 제2호, 127~13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 방달장애인의 직업생활경험 사례 연구이다. 차별문제로 사회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여성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 속에서 겪는 경험을 듣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의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를 통해서 파악하기 어려운 주제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적사례연구방법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열악한 가정환경 때문에 직업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 둘째, 직업생활하면서 인간관계의 불화와 열악한 근무환경 때문에 직업을 중단하고 싶지만 가족의 격려와 가족의 생계유지 때문에 참고 직업생활을 유지하였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더 나은 직장 이전, 창업 등과 같은 꿈을 꾸면서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the work experience of a female person with a disability. This is very meaningful to hear the experiences in the professional life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socially interested in discri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nature of the professional life of wom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method is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at can analyze in-depth topics that are difficult to grasp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began their professional life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poor family environment. Second, during their professional life, they wanted to stop working due to discord in human relations and poor working conditions, but they maintained a reference professional life because of family encouragement and family maintenance of livelihood. Third, participants are preparing for the future by dreaming of a better job transfer and starting a busines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결론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TD 모형에 기반한 디지털 놀이 지원이 유아의 놀이성 및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를 기반한 지역아동센터 집단미술치료 효과
- 호남지역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이중언어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부모-자녀 간 토론중심 하브루타 부모교육 참여 경험 연구
- 요양보호서비스 제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노인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 독서를 기반한 하브루타 부모교육프로그램 연구
- 여성 발달장애인의 직업생활경험
- 정신화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도적 반추와 핵심신념붕괴의 조절된 매개효과
- 공유가치창출이 도시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