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자의 ChatGPT 활용과 교수자의 ChatGPT 활용*
이용수 82
- 영문명
- Difference between ChatGPT Learning Use and ChatGPT Teaching Use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오방실 권영애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연구』제26권 제3호, 93~1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활용 가능한 ChatGPT 영역에 대한 인식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14명의 응답자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ChatGPT 사용 목적은 자료 조사 및 정보 수집, 궁금증 해결, 과제, 아이디어 생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ChatGPT 활용 장점은 다양한 정보 수집, 효율적인 시간 절약, 빠른 정보 획득, 요약 및 정리, 빠른 답변과 문제해결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ChatGPT 활용 시 한계점은 부정확한 답변, 질문 생성의 어려움, 답변의 신뢰성, 사용자 사고능력 저하, 획일화된 생성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ChatGPT를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영역은 번역, 내용 요약 등의 순이며, 대학생이 생각하는 교수자가 ChatGPT 활용할 수 있는 교수 영역은 어휘/문법/맞춤법 교정, 번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ChatGPT 활용 전체 평균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문항별 평균은 피드백 제공, 자료 조사 또는 정보 수집, 아이디어 또는 주제 생성, 개요 작성, 번역, 내용 요약 순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ChatGPT 학습자 활용과 교수자 활용에 대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확대하여 교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ChatGPT 활용 가능한 학습 영역과 교수 영역을 다각적으로 심도 있게 논의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between ChatGPT learning use area and ChatGPT teaching use area. A total of 114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the purpose of ChatGPT use appeared in the order of data research and information collection, curiosity solving, tasks, and idea generation. Second, the advantag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were in the order of various information collection, efficient time saving, quick information acquisition, summary and quick answers/problem solving. The limitations in using ChatGPT were in the order of inaccurate answers, difficulty in generating questions, reliability of answers, reduced user thinking skills, and uniform products. Third, the learning areas in which ChatGPT can be used were translation and content summary, while the teaching areas that college students think instructors can use ChatGPT were in the order of vocabulary/grammar correction, and translation. The overall average difference in the use of ChatGPT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ing use and learning use in order or feedback provision, data research and information collection, idea/topic generation, outline writing, translation, and content summary.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ChatGPT use of learners and that of instructors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KFL 학습자를 중심으로-
- 인공지능 로봇의 도덕감정 함양 가능성에 대한 검토 -초등 도덕과를 중심으로-
- 학교현장실습학기제에 대한 사범대학 학생들의 인식
- 예비 교사들의 기후변화 교육 사례 연구 -EARTH HOUR 활동을 중심으로-
- 학술지『교육과학연구』(1999~2023)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 대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자의 ChatGPT 활용과 교수자의 ChatGPT 활용*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공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와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