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KFL 학습자를 중심으로-

이용수 129

영문명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 and Listening Self-efficacy of Korean Learners - Focusing on the Chinese KFL learners-
발행기관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정등원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연구』제26권 제3호, 65~9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KFL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 양상을 살펴보고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 사이의 상관성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중국 대학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중국인 KFL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인 KFL 학습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학습 양식은 권위지향적 학습 양식이고 분석적 학습 양식의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듣기 효능감은 학년, 한국어 수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국인 KFL 학습자의 의사소통적 학습 양식만 듣기 효능감의 모든 하위 요인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사소통 학습 양식을 강조하는 교육이 학습자의 듣기 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지금껏 진행되지 않았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연구 결과는 한국어 듣기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듣기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ing styles and listening self-efficacy patterns of Chines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istening self-efficacy. The survey fo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Chinese KFL learners studying Korean at a university in Chin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preferred learning style among Chinese KFL learners is the authority-oriented learning style, while the analytic learning style is the least preferr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stening efficacy according to grade level or Korean proficiency. Finally, only the communicative learning styles of Chinese KFL learners were found to have correlations with all sub-factors of listening self-efficacy, indicating that emphasizing a communicative learning style in education effectively enhances learners' listening self-efficacy. This study explored the previously unexamined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tyles and listening self-efficacy, and the results highlight the significance of applying learning methods tailored to individual learner characteristics in Korean listening education to maximize its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등원. (2024).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KFL 학습자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26 (3), 65-91

MLA

정등원. "한국어 학습자의 학습 양식과 듣기 효능감의 상관관계 연구 - 중국인 KFL 학습자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26.3(2024): 65-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