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이용수 71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Meaning of Elderly Art Classes in Rural Area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도현진 김선영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4호, 149~17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농산어촌 지역 노인들이 경험한 미술교육의 의미를 중점으로 미술교육 방향성을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해남군 화원면 미술관에서 15주 동안 진행된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미술수업의 형식학습을 통해 배움의 즐거움, 전문적인 학습, 그리고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수업의 무형식학습을 통해 참여자들은 정서적 만족과 공동체 의식을 함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농산어촌 문화예술 수업이 고령자들에게 보다 깊이 있는 관계형성 및 상호작용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하였음을 보여준다. 셋째, 노인들의 미술수업 의미를 파악한 결과, 자존감 향상, 자아실현, 고립감 극복 등 삶의 질 고양의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농산어촌 노인들에게 미술교육은 단순히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을 넘어 지역 공동체의 유대감과 소속감을 공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삶에 긍정적 변화를 통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농산어촌 미술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확대 및 정부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농산어촌 지역 노인들의 네트워크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미술교육 기회들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pose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through a qualitative study focused on the elderly in rural area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15-week art education program. Results showed that formal learning brought pleasu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interaction, while informal learning fostered emotional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Furthermore, art classes enhanced self-esteem, self-realization,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art education played a crucial role in fostering community bond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is indicates that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solving issues faced by the elderly in rural areas. Thus, it is vital to rais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in these regions and ensure systematic and continuous government support. Offering diverse art education opportunities is also essential for maintaining social networks among the elderl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미술교육
Ⅳ. 연구 방법
Ⅴ. 분석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도현진,김선영. (2024).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9 (4), 149-172

MLA

도현진,김선영. "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연구, 19.4(2024): 149-1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