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미술 인지 및 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산수화 작품을 중심으로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act of Virtual Art Museum Education Programs on Art Cognition and Activity Skills: Focusing on Chinese Landscape Painting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자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4호, 67~9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중국 산수화 작품을 통해 학생들의 예술 인지 및 표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으로는 가상미술관을 활용한 산수화 체험 및 감상 활동이 포함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예술 인지, 예술 감상, 예술 표현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에 소재한 6개 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가상미술관 프로그램 참여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상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성별, 참여 여부, 참여 횟수, 참여 기간에 따라 학생들의 예술 인지, 예술 감상, 예술 표현 능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지 능력과 주제 설명 능력, 디자인 및 입체 표현 능력에서 우수하고,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인지 능력, 미술 감상 및 표현 능력에서 미참가자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 기간이 길수록 인지 능력과 미술 관련 능력이 향상되었다. 프로그램 참여 횟수가 많을수록 학생들의 인지 및 미술 관련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가상미술관이 학생들의 다양한 예술 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특히 혁신적인 교육 도구로서의 잠재력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investigation to assess the impact of using a virtual art museum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appreciate Chinese landscape paintings virtually.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is experience could enhance students' art cogni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gnitive ability, art appreciation ability, and art expression ability based on gender, participation in the virtual art museum program, number of participations,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excluding grade level. This suggests that educational programs can positively affect the development of various artistic abilities in students. Particularly, the use of innovative educational tools like virtual art museums can enhance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and comprehensively improve their cognitive and artistic abiliti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박물관에서 ‘지역’: 관행적 시각의 전환 필요성과 가능성으로서의 ‘로컬리티’
- 라키비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 에듀케이터의 아카이브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연구
- 시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중심으로
- 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미술 인지 및 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산수화 작품을 중심으로
- 국립박물관 자율관람 활동지의 발문 유형과 응답 형태 및 내용 연구: 공예 분야 활동지를 중심으로
- 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 <1+3 예술통합교육> 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각과 예술통합’ 강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탐색
- 평생교육사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