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60
- 영문명
- A Study on developing arts integration program using poetry : For focusing on the ASSURE model and TAT Lab’s evaluation method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나래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9권 제4호, 95~12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시를 활용하여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적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 현장 관찰과 결과물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이를 바탕으로 통합예술교육에 관한 다양한 개발 사례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 연구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특성, 교육 설계 모형인 ASSURE 모형과 미국 워싱턴주의 예술강사 역량개발 프로그램인 TAT Lab(Teaching Artist Training Lab)의 평가 방식에 대해 고찰한 후 이를 반영하여 수업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5학년 2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교육 현장 관찰 및 교육 참여자, 참여 강사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응용하여 개발한 본 연구의 교육 설계 모형이 통합예술교육의 체계적 평가와 환류를 가능케 하고, 이를 통해 수업의 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 학생들이 ‘시인과 지역에 대한 관심 증대’,‘창의적 표현력 함양’,‘예술적 감수성 향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의 효과와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that applies the TAT Lab evaluation method using the ASSURE model and poetry, and to find out its effectiveness. To achieve this goal, the concept of integrated art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ASSURE model, an educational design model,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AT Lab, an art instructo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in Washington, U.S., were reviewed and reflected to construct a teaching model. And through this, an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program was conducted with 25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observations of the educational field, participants in education, and interviews with participating instructor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design model of this study developed by applying the ASSURE model and the evaluation method of the TAT Lab improves the quality of instruction by enabling systematic evaluation and feedback of integrated art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integrated art education program using poetry, the participating students experienced 'increasing interest in the poet and the region', 'cultivating creative expressions', and 'improving artistic sensi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프로그램 개발
Ⅴ. 연구 결과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역박물관에서 ‘지역’: 관행적 시각의 전환 필요성과 가능성으로서의 ‘로컬리티’
- 라키비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미술관 에듀케이터의 아카이브 활용 역량 강화 교육 연구
- 시를 활용한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ASSURE 모형과 TAT Lab의 평가 방식을 중심으로
- 가상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이 미술 인지 및 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중국 산수화 작품을 중심으로
- 국립박물관 자율관람 활동지의 발문 유형과 응답 형태 및 내용 연구: 공예 분야 활동지를 중심으로
- 농산어촌 노인미술수업을 통한 학습경험과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꿈다락 문화예술학교 미술프로그램 사례 중심으로
- <1+3 예술통합교육> 기반 교육과정 개발 연구 – ‘지각과 예술통합’ 강좌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동아시아문화연구방법론에 대한 새로운 탐색
- 평생교육사의 문화예술교육 기획역량 척도개발 및 타당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