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중국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101

영문명
Analysis of Creativity Research Trends in Chinese Universities Using Topic Modeling
발행기관
대한사고개발학회
저자명
ZHANG JUNJUAN 한기순
간행물 정보
『사고개발』제20권 제2호, 93~115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 학술 논문 사이트(知网)에서 2006년부터 2023년까지 발표된 중국 대학의 창의성 관련 학술 논문을 수집하고, 논문 초록을 중심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논문 초록 내 주요 단어들 간의 관계를 시각화하고, 이들의 상호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각 논문의 주요 주제와 그들 간의 연관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토픽 모델링을 통해 다양한 주제를 식별하고, 각 주제의 출현 빈도와 시간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과 주요 경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토픽 모델링 분석 결과, ‘산학융합 창의적 복합형 광고디자인 인력 양성’, ‘종합 예술교육 및 창업 과정 체계 구축’, ‘창의적 소프트웨어 공학 교수법 혁신’, ‘예술대학 창업 인재 양성’, ‘광고학과 패션문화 융합 수업’, ‘혁신 인재 양성 모델’, ‘예술디자인 교육에서의 혁신 교수법’, ‘전인 교육과 문화 가치 탐구’,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과정 구축’ 등 9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중국 대학의 창의성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와 교육 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llected creativity-related academic papers from Chinese universities published from 2006 to 2023 from Chinese academic paper sites and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on the abstracts of the papers. Text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visualize the 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in the abstracts of the papers and identify their interrelationships. From this, we derived the main topics of each paper and the connections between them. Topic modeling was also used to identify different topics and analyze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and changes over time. This provided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rends and major trends in creativity research in Chinese universities. The topic modeling analysis resulted in nine major themes, including “Cultivating creative industry-university-complex advertising and design talents,”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art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course system,” “Innovating creative software engineering teaching methods,” “Cultivating entrepreneurial talents in art universities,” “Advertising and fashion culture integration classes,” “Innovative talent cultivation models,” “Innovative teaching methods in art and design education,” “Exploring holistic education and cultural values,” and “Establishing a curriculum to cultivate creative talen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creativity research in Chinese universiti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al policy formulation.

목차

I .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ZHANG JUNJUAN,한기순. (2024).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중국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사고개발, 20 (2), 93-115

MLA

ZHANG JUNJUAN,한기순.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중국 대학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 분석." 사고개발, 20.2(2024): 93-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