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독일의 구직자 기초보장 제도로서 시민급여 및 협력계획 도입의 시사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조건부 수급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147
- 영문명
- Implications of the introduction of the Citizen’s Benefit and Cooperative Plan as a basic security system for job seekers in Germany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conditional benefit system unde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Korea -
- 발행기관
- 사회복지법제학회
- 저자명
- 김다혜
- 간행물 정보
- 『사회복지법제연구』제15권 제2호, 179~20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일 고용청과 실업급여 II 수급자 사이의 기존 통합계약은 독일 판례상 공법상 계약으로 인정되었으며, 활성화하는 국가(aktivierender Staat)의 통합 개념 및 국가와 시민 사이의 대등한 파트너쉽을 잘 나타내는 제도로 평가받았다. 2023년부터 통합계약을 대체하게 된 협력계획에 대해서는 상당한 비판이 따르고 있다. 통합계약에서와 달리 법적 구속성이 없어지면서 수급자가 받는 혜택과 근거가 모호해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그러나 독일의 입법자가 협력계획에 법적 구속성을 부여하지 않는 결정을 내린 것은, 형식적인 공법상 계약 성립에 수반되는 불필요한 대량 문서 작업을 줄이고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다만 변경된 제도 아래에서 협력계획이 원활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고용청 담당자 개인의 업무 방식과 강도에 크게 의존해야 한다는 우려가 여전히 존재한다. 앞으로의 제도 운영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우리나라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조건부 지급 제도에 대해서는 근로기준 판단의 불명확성과 개별적인 예외성을 무시하는 강제근로의 성격이 주요 비판점으로 지적된다. 독일의 경우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생계급여 수급자가 근로능력 여부 판단 과정이나 조건부 수급자 선정에 개입하기 어려우며, 자활 계획 수립은 행정청 담당자의 지시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활 사업을 실업률 완화의 도구로만 사용해서는 안 될 것이고, 취약 계층의 최저 생계 보장을 위한 구체성 제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former integration contract established between the German Employment Agency and recipients of Jobseeker's Allowance II stood as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integration paradigm within an enabling state (aktivierender Staat), emphasizing an equitable partnership between the state and its constituents.
Nevertheless, significant scrutiny surrounds the recently implemented cooperation plan, which succeeded the integration contract as of 2023. The principal apprehension revolves around its lack of legal enforceability, potentially resulting in ambiguity regarding entitlements and justifications for beneficiaries. However, the legislative decision by the German authorities to abstain from mandating legal enforceability for cooperation plans could be construed as an endeavor to curtail superfluous bureaucratic procedures inherent in formal public law contracts, aiming to enhance administrative efficiency.
Nonetheless, apprehensions persist regarding the effective execution of the cooperation plan within the new framework, contingent upon the work ethos and diligence of individual representatives from the employment agencies. This aspect warrants diligent consideration in the forthcoming operations of the system.
Conversely, noteworthy criticisms of the conditional payment framework for fundamental subsistence benefits under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in Korea pertain to the nebulous criteria for labor standard assessments and the aspect of coerced labor, which may inadvertently disregard individual exceptions.
In stark contrast to the German context, the involvement of welfare recipients in determining their work capacity or eligibility for conditional benefits is a rarity in Korea, with the formulation of self-sufficiency plans overseen predominantly by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ameliorate this scenario, self-support programs should transcend their role as mere palliatives for unemployment, instead focusing on tailored approaches to ensure the minimum sustenance of marginalized demographics.
목차
I. 서론
II. 독일 기존 구직자 기초보장 제도에 대한 비판
III. 독일 시민급여 및 협력계획 도입의 법적 의미
IV. 우리나라 제도와의 비교 및 시사점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친화도시 조례 분석
-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의 재무ㆍ회계 개선을 위한 법적 소고 - 「사회복지법인 및 사회복지시설 재무회계규칙」 개정을 중심으로 -
- 사회적모델 기반 장애개념의 법 조문화(條文化)에 따른 쟁점 고찰
- 서울시 기초자치단체 탄소중립 기본조례 분석 - 기후정의를 중심으로 -
- 사회복지사업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사회복지법인 관련 규정을 중심으로 -
- 지역복지, 의료복지의 관점에서 본 간호법안 주요 쟁점에 관한 소고
- 발달장애인 경제적 착취 예방과 피해 회복을 위한 법률복지의 과제 - 휴대폰 개통사기 피해 대응에 관한 법제적 접근을 중심으로 -
- 독일의 구직자 기초보장 제도로서 시민급여 및 협력계획 도입의 시사점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 생계급여 조건부 수급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고용허가제 2.0 시대, 외국인근로자 권리보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