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8
- 영문명
- Effects of Singing-Centered Telehealth Music Therapy Based on Self-Compassion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Emotional State of Caregivers of 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서다현 황은영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2호, 133~1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 참여자는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 총 26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13명씩 무선 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5주간 주 1회, 회기 당 50분의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관련 중재를 제공하지 않았다. 참여자들의 심리적 안녕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 한국형 심리적 안녕감 척도(K PWBS)를, 정서 상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척도로 한국판 긍정 부정 정서 척도를 한국 실정에 검토, 맞게 수정된 K PANAS R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동일 척도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 중심의 비대면 음악치료에 참여한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자기자비 중심의 비대면 음악치료에 참여한 집단의 부정 정서는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후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nging centered telehealth music therapy based on self compassion on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and emotional state of caregivers of school 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6 caregivers of school 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ith 13 people randomly assigned to each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inging centered telehealth music therapy based on self compassion for 50 minutes per session, once a week, for five weeks. No intervention was provided for the control group. The Korean Psychological Well Being Scale (K PWBS) was used to determine changes in psychological well being, while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Scale Revised (K PANAS R) was used to assess changes in emotional state. Both groups performed pre post tests on the same sca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well being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se finding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for the psychological health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를 통한 청소년의 정서·행동 과잉통제 유무에 따른 반응특성 비교
- 유방암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