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7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ng psychotherapy on Depression and Sense of loss in Climacteric Women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조미영 박혜영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2호, 31~5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G시 복지관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여성 중 갱년기 시기의 대상자 16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으로 각각 8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갱년기 진단 척도(MESNSI)를 사용하여 연구에 적합한 대상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노래심리치료 활동을 주 2회, 60분씩, 총 12회기로 진행하였고, 대조집단은 복지관의 기존 프로그램활동을 시행하였다. 우울과 상실감에 사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개별 인터뷰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터뷰 분석 결과 나이와 상황에 대한 유사 효과로 서로에게 개방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신의 내면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부정적인 감정의 원인을 객관화할 수 있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역할상실로 인해 생기는 우울이 그룹원의 지지와 공감으로 대체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고, 자신의 가사로 바꾸어 미래를 희망하는 노래를 함께 부를 때 긍정적인 감정과 연대감이 나타났다. 이는 노래 심리치료 활동이 제2의 과도기인 갱년기 시기를 성공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해당 시기에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안정된 노년기를 맞이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ng psychotherapy affects depression and loss in Climacteric Women. As for the research method, 16 women who used the G city welfare center program were recruited and wirelessly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8 people each.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nfirmed to be suitable subjects for the study using the menopausal diagnosis scale (MESNSI). In the experimental group, song psychotherapy activitie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60 minutes each, a total of 12 sessions, and in the control group, the existing program activities of the welfare center were conducted. Pre post tests were performed for depression and los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used in parall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it was confirmed that song psycho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and loss in Climacteric Women. In addition, as a result of interview analysis, they were open to each other with similar effects on age and situation, intensively looking inside themselves, and having the power to objectify the causes of repeated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they experienced that depression caused by loss of roles could be replaced by support and empathy from group members, and positive emotions and solidarity appeared when they changed their lyrics and sang songs hoping for the future together. This is meaningful in that singing psychotherapy activities successfully experience the menopause, the second transition period, in which the quality of life is improved and a stable old age is reach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를 통한 청소년의 정서·행동 과잉통제 유무에 따른 반응특성 비교
- 유방암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