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10
- 영문명
- The Effects of Studio Art Therapy Program on Improving Learned Letheragy of Elders' Self-Resilience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옥자 이근매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2호, 77~10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을 위한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A시의 B노인복지관과 C종합사회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에게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 후, 실험 통제집단으로 각각 8명씩 배치하여 학습된 무기력 개선을 위한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프로그램 사전 사후 학습된 무기력 검사를 실시하여, 독립 t test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효과적이었다. 실험집단이 프로그램 실시 후, 학습된 무기력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 하위요인 중 자신감 결여, 우울 및 부정적 인지, 통제력 결여, 지속성 결여, 과시욕 결여, 책임성 결여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와 개선되었지만, 수동성에서는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studio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learned letheragy of eld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fter conducting a learned lethargy test on the elders who are users of the B Senior Welfare Center and the C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City A, the research subjects were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of 8 people each, and the studio art therapy program for improving learned letharg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total of 12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studio art therapy program, while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The pre and post program learned letharagy tests were conducted, and independent t 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studio art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arned letharagy of the elders.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learned letharagy after the program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and among the sub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ith significant changes in lack of confidence, depression and negative cognition, lack of control, lack of persistence, lack of estentation, and lack of responsibility, but not in passivity.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udio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improving learned letharagy of the eld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를 통한 청소년의 정서·행동 과잉통제 유무에 따른 반응특성 비교
- 유방암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