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용수 97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s of Online Group Therapy Program Based on Focusing Oriented Art Play for Emotional Insight of Parents with Alexithymic Traits : Mothers Caring Early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강민수 한유진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2호,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만 3세 이상 만 5세 이하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17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7명으로 계획하였다. 실험집단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을 주 2회, 1회 90분씩 총 1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포커싱적 태도 척도, 부모 자녀 관계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개선하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감각 느낌을 알아차리고 정서적 통찰로 이어질 수 있는 포커싱적 태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은 부모 자녀 관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과정의 변화를 보기 위해 내용 분석한 결과 감정표현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고, 정서적 통찰 수준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nline group therapy program based on focusing oriented art play for emotional insight of parents with alexithymic traits, especially conducted for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evaluated the program's effectiveness. While the program proceeded, 17 mothers with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iv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10 and seven people, respectively. The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participants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y received the treatment twice a week, 90 minutes each time and a total of 10 sessions.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In this research, the Alexithymia Scale and Focusing Manner Scale,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 Children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s program, this study were obtained. Firstly, the result of the program indicated a significant effect on decreasing alexithymia levels. Secondly, the program was also essential in recognizing the sense of feeling and maintaining a frame of mind that can lead to emotional insight. In addition, the program for emotional insight significantly impacted parent child interactions. Lastly, there were excellent improvements in enhancing emotional insight levels after the therapy program.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절차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감정표현불능 성향 부모의 정서적 통찰을 위한 비대면 집단 포커싱 미술놀이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중심으로
- 노래 심리치료가 갱년기 여성의 우울과 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 교양과목을 수강한 대학생의 주관적 인식 연구
- 스튜디오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학습된 무기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 자기자비에 기반한 노래 중심 비대면 음악치료가 학령기 발달장애 아동 양육자의 심리적 안녕감 및 정서 상태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를 통한 청소년의 정서·행동 과잉통제 유무에 따른 반응특성 비교
- 유방암을 경험한 미술치료사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노인의 초기 애착이 죽음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인 애착과 삶의 만족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대학생의 애착불안정성과 우울감의 관계: 사회비교 경향성과 소속감의 다중매개효과
- 복합적 사별을 경험한 가족의 메타버스 VR 기반 가족애도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